[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작은 모기여는 인근에 작은 바위섬이 군도를 이루고 있는 섬이며 해안은 하나의 암반으로 되어 있고, 절리가 발달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지질은 백악기 반암류인 그래노파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해발고도가 대체로 낮은 섬에 해당하며 모두 준보전 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섬이다.
거문도에서 상백도 방향으로 가다 보면 인근 여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사람들도 가끔 보이기도 하며 큰 암반으로 되어 있기에 식생은 거의 없는 지형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삼면 동도리 산125
[무인도서를 만나다]
여수 작은 모기여는 인근에 작은 바위섬이 군도를 이루고 있는 섬이며 해안은 하나의 암반으로 되어 있고, 절리가 발달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지질은 백악기 반암류인 그래노파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해발고도가 대체로 낮은 섬에 해당하며 모두 준보전 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섬이다.
거문도에서 상백도 방향으로 가다 보면 인근 여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사람들도 가끔 보이기도 하며 큰 암반으로 되어 있기에 식생은 거의 없는 지형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삼면 동도리 산125
[무인도서를 만나다]
사천 아두섬은 무인도서이며 현재 천연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문화재청 관리하에 절대보존 섬으로 보존되고 있어 입도를 위해서는 허가를 득해야 한다.
아두섬에는 공룡 발자국 화석, 공룡알 화석 및 공룡뼈 화석이 잘 보존되어 있어 아두섬이라는 명칭보다는 공룡 화석 섬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매우 드문 공룡뼈 화석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어 공룡의 서식 근거지였던 것으로 추정되기에 학술적 가치가 큰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주소 : 경상남도 사천시 신수동 산33-2
[무인도서를 만나다]
신안 대삼도는 좁은 수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선도의 2기의 등표가 가항수로와 고립 장애를 표시하고 주변을 운항하는 선박에게 안전을 지켜주고 있다.
대삼도는 고도가 낮아 정면에서 보면 둥근 타원형의 형태로 보이지만 동서방향의 장축으로 이어져 있고 순상지형의 구조를 가진 섬이다.
섬 지형은 주로 타포니가 주로 발달되어 있으며, 절리를 따라 풍화 및 침식되어 3개의 섬으로 나뉘어 중삼도, 하삼도라 부르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지도읍 읍내리 산60
[무인도서를 만나다]
장고도는 섬의 모양이 멀리서 보면 얼핏 장구처럼 생겼다 하여 장구섬, 장고섬, 외장고도 등이라고 하다가 일제 강점기부터 장고도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장고도는 대천의 섬 중에서 북쪽으로 위치한 섬으로, 대천항에서 뱃길로 40여분을 가야하는 곳이며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결항이 잦은 섬 중에 하나이다.
장고에는 명장섬이라는 딸린 부속섬이 있는데 간조에는 섬까지 드러난 길을 따라 걸어 들어갈 수 있으며, 장군 바위와 동굴을 만날 수 있으며 장고도에서도 으뜸 명승지에 속할 정도로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주소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장고도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쌍도는 서산시와 서천군의 행정 구역이 어우러진 섬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한 위치에 있으며, 동서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육지와 간조에 이어지고 큰쌍도와 사주로 이어지는 2개의 섬으로 되어 있다.
드넓은 갯벌은 간조에 체험 학습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운기를 타고 갯벌 끝으로 나갈 수 있고 이색 체험장에 속하기에 주말에는 가족 단위의 여행객이 많은 무인도서 중 하나이다.
식생은 섬 전체에 소나무와 낙엽 활엽수가 혼재된 혼효림이 분포하며 주로 따개비를 따는 어민들의 일상을 볼 수 있으며 낙조가 일품인 섬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쌍도는 서산시와 서천군의 행정 구역이 어우러진 섬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한 위치에 있으며, 동서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육지와 간조에 이어지고 큰쌍도와 사주로 이어지는 2개의 섬으로 되어 있다.
드넓은 갯벌은 간조에 체험 학습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운기를 타고 갯벌 끝으로 나갈 수 있고 이색 체험장에 속하기에 주말에는 가족 단위의 여행객이 많은 무인도서 중 하나이다.
식생은 섬 전체에 소나무와 낙엽 활엽수가 혼재된 혼효림이 분포하며 주로 따개비를 따는 어민들의 일상을 볼 수 있으며 낙조가 일품인 섬이다.
주소 : 충남 서천군 비인면 선도리
[무인도서를 만나다]
연평도 내에는 4개의 무인도서가 있는데 그 중 연륙교로 이어지면서 파괴되어 훼손이 심하게 된 벌염과 해식애의 아름다움이 있는 형제섬이 그 중 으뜸이다.
벌염은 현재 다리가 놓아져 간조에는 밑으로 내려가 볼 수 있으나 연평도 자체가 언제나 긴장감이 도는 지역이기에(발목 지뢰 등의 사고가 있을 수 있기에) 길이 아닌 곳은 걷지 않아야 한다.
현재 벌염은 동쪽은 해식애가 주로 발달되어 있으며, 서쪽은 간조시에 갯벌이 노출되어 걸어 볼 수 있는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방으로 이어져 있기에 간조에는 제방 밑으로 해서 섬 전체를 돌아볼 수도 있으나 권하고 싶지는 않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연평면 연평리 산48
[무인도서를 만나다]
모이도는 서해 5도 중 하나로 군사적 요충지인 탓에 한국군 부대가 초소 감시 중 에 무인도서이며 남북 긴장이 가장 높은 섬 중 하나이다.
꽃게철에는 어장이 형성되어 긴장이 더 고조되는 특수 지역인지라 잠시라도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군사분계선에 작은 섬이며, 어업상으로 중요한 곳이다.
예전에는 5월 조기철에 1,500척 이상의 어선이 모여들어 파시(波市)가 섰었으나 1968년 이후에 사라졌고, 현재는 조기 대신 꽃게를 중심으로 한 어장이 형성되었다.
주소 :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연평리 산15
[무인도서를 만나다]
광양에 속하는 배알도는 한 때는 특정도서로 지정 되었으나 시민에게 개방되면서 공원으로 재탄생한 무인도서에 해당하며 망덕산을 향해 절을 하는 형상이라 배알도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배알도를 이루는 구성암질은 역질사암이 많으며, 해발고도가 낮고 남동-북서 방향으로 경사 완만, 북-북동 해안을 제외하고 축대 형성 일부 노두에서 염풍화혈 존재하는 작은 섬이다.
지금은 양쪽으로 연륙교가 개통되어 수변 공원으로 재탄생 되었으며 걸어서 30분이면 섬을 정상까지 걸어 볼 수 있는 작은섬이기에 산보하기 좋은 섬이다.
주소 : 전남 광양시 태인동 산1번지
[무인도서를 만나다]
다라지도는 행정상 완도군에 속하지만 고흥과 여수의 중간 해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먼바다에 속하는 무인도서이다.
영화 밀수를 보면 완도에서 멀게는 상백도의 아름다운 절경이 펼쳐진 곳에서 촬영을 하고 있는데 특히 다라지도의 절경을 소개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섬은 낙타섬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섬 남단에 해식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시스택 정상부의 토르(Tor)의 생김새를 빗대어 이승만 머리라고 하며 수평 노치가 약하게 발달되어 있다. 직사각형 동굴이 형성된 시아치(Sea Arch)가 형성되어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금일읍 장원리 산97
[무인도서를 만나다]
포항 삼정섬은 한때는 육지와 동떨어진 섬으로 남아 있었으나 삼정항 뉴딜 사업으로 백미터 연륙교가 이어져 지금은 육지화 된 작은 무인도서가 되었다.
전망대와 나무 계단이 설치되어 정상까지 올라 동해를 전망할 수 있는 포인트 장소가 되었으며 낚시인들에게는 낚시가 잘 되는 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기에 주말에는 항상 많은 인파가 몰리는 장소이다.
간조에 섬 한 바퀴를 도는데 20분 정도면 되는 작은 섬이며 섬 주변은 그렇게 위험하지 않지만 만조시에는 밀려오는 파도에 쓸릴 위험이 있다.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삼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