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두루워킹투어]
벽골제는 김제시 포교리와 월승리 일대의 저수지를 이르며 약 2.6㎞의 제방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3대 저수지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농업 국가로서 농사를 위해 수리 시설을 갖춘 조상의 슬기를 엿볼 수 있는 곳이며 벽골제에 대한 연혁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잘 나타나 있다.
신라 흘해왕 21년에 공사를 시작해 신라 원성왕 6년에 증축했다고 했으니 농경 문화의 시작을 알리는 장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벽골제이다. 벽골제 내에 있는 농경 문화 박물관은 사적인 벽골제와 김제 만경평야, 수천년 농경 문화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전시 교육공간으로 1998년 개관하였다.
주소 : 전북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로 442
[전북 두루워킹투어]
고창 조양관 식당 건물은 원래 여관으로 건립하였으나, 한정식 식당으로 활용되다가 얼마전 시에서 인수하여 다시금 리모델링을 통하여 카페가 되었다.
1층에는 부엌과 방이 있으며 방 앞에는 쪽마루를 두었고 2층에는 전면과 후면 쪽에 복도를 두고 1층에서 출입할 수 있는 계단을 2개 설치하였다.
복도 안쪽의 공간은 전‧후면으로 분할한 겹집 형태로 방이 8개 있으며 각 방마다 앉아서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바뀌었으며, 비늘 판벽과 목골조, 내부 공간이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천변남로 86
[전북 두루워킹투어]
김제 동헌은 현종 8년에 건립되었고, 그후 32년 뒤인 숙종 25년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원래 전후면에 퇴(退)가 있었고, 내부 양측 좌우에는 온돌방이 있었다고 하나 확인할 수 없다고 한다.
건물이었던 만큼 사용한 부재나 꾸밈 등이 일반 민가 건축과는 달리 장중하고 장식적인 면모를 많이 갖추고 있다.
건축 양식은 팔작 지붕에 연화봉을 장식한 익공계의 건물이며, 처마는 겹처마로 되어 있으며, 전면에 놓은 주춧돌은 화강암을 원주형으로 잘 다듬어 사용하였으나, 후면에는 거친 자연석을 적당히 발라낸 것을 놓았다. 인근에 김제 향교와 더불어 위치하고 있다.
주소 : 전북 김제시 동헌4길 46-1
[전북 두루워킹투어]
전주 꽃 대궐은 처음 시작은 개인이 가꾼 겹벚꽃과 철쭉에서 시작했지만 전주시에서 모두 인수하여 시민들에게 가는 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공원이며 벚꽃이 모두 낙화 한 후 한걸음 늦게 피어나 짧은 봄을 완상할 수 있도록 한 공원이 되었다.
완산 7봉은 가까운 곳에 벙커 스페이스가 있고, 전주 한옥 마을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개화기에는 인산 인해를 이룬다.
1시간이면 동산 전체를 돌아 볼 수 있고 가장 높은 정상에는 동학 혁명 추모관이 있어 인근 지역의 동학 활동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완산동 612
[전북 두루워킹투어]
순창 요강 바위는 둥근 구멍이 뚫린 순창의 명물로 한국 전쟁 때 마을 주민 중 바위에 몸을 숨겨 화를 면했고, 장군목을 찾아 요강 바위 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는 전설도 전해지고 있다.
한 때는 요강 바위를 도난 당했다가 주민들이 되찾은 일화로 유명해졌으며, 요강 바위는 무게 15t에 높이 2m, 폭 3m로 장정 3~4명이 들어설 수 있는 바위 포트 홀이 만들어져 있다.
요강 바위 같은 포트 홀은 1억 년 정도 물살이 지나야 생기며 이 같은 바위들은 천태만상으로 장군목에서 구암정까지 약 5km가량 이어져 있으며, 주변 암벽에는 만수탄 외 암각서와 시율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주소 : 전북 순창군 동계면 어치리 814
[전북 두루워킹투어]
고추장으로 유명한 순창은 예로부터 물이 맑아 장 맛에서부터 고추장까지 우리의 입맛에 맞을 수 있는 천혜의 고장인 것은 틀림없는 듯 하다.
여기에 눈으로 즐기는 축제까지 더해져 아름다운 순창으로 거듭나고 있으니 여행객에게는 가보고 싶은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참두릅 축제를 더해 벚꽃이 개화하는 양지천 일대에 수선화를 심어 더욱 볼거리를 더했으며 봄을 만끽할 수 있고, 천변에 피어 나는 봄이면 양지천 일원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지며 위로는 벚 꽃이 휘날리며 아래로는 꽃잔디가 만개하여 색으로 즐거운 봄을 만들어 준다.
주소 : 전북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 양지천 일대
[전북 두루워킹투어]
전주 한옥 마을 입구에 위치한 자만 벽화마을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민들의 집 벽에 추억의 만화 벽화가 있어 만화를 보고 자란 어린 시절의 추억을 소환하고 있다.
작은 골목마다 테마가 있어 돌아 보는 동안 웃고 즐기며 모두 돌아볼 수 있으며 오목대를 방문하고서 육교를 건너면 바로 이어지기에 찾아가기도 수월하다.
자만 마을은 한국 전쟁 당시에 피난민들이 주를 이루고 생활하던 마을이어서 그런지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느낌으로 작은 골목을 모두 걷게 된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50-158
[전북 두루워킹투어]
남원 시립 미술관은 큐레이터 형식의 도슨트가 있기에 월요일을 제외하고 오픈 시간에 방문하여 전시된 작품 설명을 도슨트 시간을 확인해서 작품을 감상하면 더욱 즐거운 미술관 방문이 된다.
지방 도시를 여행을 하면서 꼭 빼놓지 않는 곳이 미술관과 박물관인데 지역 작가들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작품의 세계를 만나는 시간이 즐겁기 그지 없다.
비록 규모나 전시된 작품은 도립 미술관이나 해외 미술관 보다는 작지만 나름 눈과 마음이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기에 남원을 가거든 꼭 방문해 보기를 권하고 싶은 곳이다.
주소 : 전북 남원시 함파우길 65-14
[전북 두루워킹투어]
부안 구금융조합은 일제강점기에 금융기관으로써 부안 농협을 거쳐 현재 부안 군청 해양수산과 사무실로 사용하는 근대 사무소 건축물이다.
평면은 ㄷ자 모양으로 정면 중앙 현관을 통해 사무 공간으로 출입하고, 좌우측의 복도를 통해 증축부의 각 실과 연결되도록 공간을 구성하였지만 지금은 리모델링으로 옛모습을 잃어버렸다.
일본인들의 경제 수탈 정책을 지원하려고 설립한 소규모 금융조합 건물로, 곡창지대인 부안 지역에서 생산된 쌀을 수탈해 가는 데 다크니즘의 역사 시설물이지만 내부의 천장 트러스트는 가려져 버렸고 외부의 엘리베이터 시설 증축으로 빈티지스런 느낌은 전혀 들지 않는다.
주소 : 전북 부안군 부안읍 당산로 90 (동중리)
[전북 두루워킹투어]
조선 태조 때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라 불렀으며 세종 16년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마치 옥황상제가 산다는 월궁의 광한청허부와도 같다 하여 광한루로 바꾸어 오늘에 이른다.
지금 건물은 정유재란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 남원 부사 신감에 의하여 다시 지어진 것으로 부속 건물은 정조 때 세운 것이다.
전면에는 부사 이상억이 쓴 호남제일루라는 판액이 걸려 있으며 누각에는 83점의 편액이 있으며, 용성지에 실려 있는 것과 합하면 약 200여 수가 된다. 광한루는 판소리 춘향가의 주인공인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난 곳으로 유명하다.
주소 : 전북 남원시 요천로 1447
[전북 두루워킹투어]
성벽의 축조는 대형석재를 기단석으로 하고 그 위에 크고 작은 석재를 막 쌓으면서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물러나며 쌓았으며 최근 서문지 주변의 성벽이 일부 복원되어 있다.
얼마전 가수 BTS의 영상 촬영지로 배경 화면에 등장한 뒤 팬들의 방문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으며 주변 저수지와 더불어 관광지가 되어가고 있다.
성 안쪽의 작은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성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시설로 성벽 내부에 지하 배수로가 만들어져 있으며 산성 내부에는 추정 건물지15개소를 비롯하여 행궁지 등의 터가 존재한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전북 두루워킹투어]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등대는 바다를 마주하고 있거나 섬에 존재한다는 사실인데 뭍으로 나온 산속 등대는 색다른 이름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 한다.
한 사람의 생각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결론은 있다인데 원태연 관장의 생각이 바로 그런 생각인데 산속에 존재하는 등대 이야기를 미술관을 통해서 세상에 알리고 있으니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아이들의 동심은 세상을 바꾸는 시작임을 먼저 알고서 사생대회 등을 개최하고 고래와 기존 폐공장의 굴뚝을 등대로 개조한 혜안이 뛰어난 문화 복합의 결정체인 이곳에 매월 등대 사진이 전시되고 있으며 현재는 국영수 작가의 전시가 진행되고 있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원암로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