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감성 도시 여행]
추억을 부르는 식물은 아마도 청보리만한 것은 없지 않을까 한다. 추억이 담긴 식물은 언제 어디서 보아도 어린 시절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고창이 국내 청보리 밭의 대명사라면 드넓은 평야에 일렁이는 김제 평야의 드넓은 맥랑의 모습은 보고만 있어도 힐링이 되는 물결인지라 나도 함께 일렁이게 된다.
잠시금의 걷기에 청보리 밭에서 바람따라 풍겨나오는 보리만의 고유한 상큼함이 온 마음에 봄을 내리게 해준 힐링의 시간이었다.
주소 : 전북 김제시 심포항 일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지나가는 봄이 아쉬워 위봉사와 망해사를 잠시 들려 늦봄이 지나가는 모습을 담아보면서 불어오는 바람 따라 떠나는 봄을 잡은 날이다.
다른 곳은 이미 벚꽃이 낙화하여 신록이 올라오는데 이곳은 추위와 바람이 강한 탓에 가녀린 봄을 붙잡고 있는 사찰이었다.
한 번 피어 지고나면 일년이라는 시간을 각 계절에 맞게 모습을 보여주는 나무와 꽃은 언제 보아도 함께 나이들어가는 내 모습을 비추게 된다.
주소 : 전북 완주군, 김제시
[전북 감성 도시 여행]
전주시를 에워 싸고 있는 안주군은 언제나 전주시에 늦봄이면 꽃향기를 보내고 있는 도시인지라 참으로 감사한 자연 환경을 가지고 있는 군이다.
코로나로 인하여 심신이 지친 지금 시기이지만 한적한 들녘을 찾아 피어나는 야생화와 인위적으로 심어둔 조경수의 화려함에 빠지면 어떨까.
오랜 거리두기로 많은 인맥이 단절되고 잊혀질까 두려워하는 것보단 인원에 맞추어 늦봄을 즐기며 피로한 시간을 활력으로 바꿈 참 좋겠다.
주소 : 전북 전주시 완주군 일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속담도 있지만 기상 변화로 이제는 4월에도 영하 날씨가 되고 서리가 내리는 것을 보면 우리 속담이 사실임을 날씨가 증명해 주는 듯 하다.
농부나 과수원을 업으로 하시는 분들에게 최악의 날씨가 되지만 사진가들에게는 그저 서리가 예쁘게 보이기만 하니 참으로 난감한 일이다.
그나마 동이 트기 전에 서리가 내리는지라 농부들이 일하기 전에 살짝 다녀오면 되지만 부지런한 분들 눈에 띄면 그저 문안 인사로 대신하고, 사진에 담는 것이 서리인데 그럴적마다 괜시리 미안한 생각이 들어 등줄기에 차가운 서리가 내린다.
[전북 감성 도시 여행]
트래킹을 하다가 해질녘 대지에 노을이 들때쯤 길 끝으로 보이는 수도원과 식물원 그리고 아름다운 꽃에 노을이 물드는 풍경을 본다면 트래커들은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
금년 3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9월 중순쯤 넓은 대지에핑크색으로 피어날 풍경과 주변에 노란 유채가 때이르게 오른다면 최고의 가을 풍경이 될 것이다.
여기에 각 테마를 갖추어 포토 라인을 형성하는 11개의 조형물과 주변에 작게 만들어진 코스모스 피어나는 기찻길, 그리고 사라져가는 정미소를 복원하여 꾸며 놓은 작은 민속관 등은 익산시의 볼거리가 될 것이다.
[전북 감성 도시 여행]
군산은 한강 이남에서 최초로 3.1만세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 영명학교와 예수병원, 구암교회 등이 주축이 되어 만세운동을 일으킨 지역이다.
이곳에서 펼친 만세운동은 전국으로 전파되는 도화선이 되었으며, 3.1운동 100주년 기념관은 이러한 군산 독립만세운동의 역사성을 널리 알리고 있다.
목숨 바쳐 독립운동을 하신 선조들의 고귀한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념관의 외형은 100년전 영명학교를 그대로 재현하였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영명길 29
[전북 감성 도시 여행]
부안 지역에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이 수성당에서 칠산 바다를 수호하는 수성 할머니라는 해신을 받들어 모셨는데, 이 여신은 키가 매우 커서 굽나무깨신을 신고 서해 바다를 걸어다니며 깊은 곳은 메우고 위험한 곳은 표시를 하여 어부들을 보호하고 풍랑을 다스려 고기가 잘 잡히게 해준다고 한다.
또 수성할머니는 딸 여덟을 낳아 각도에 딸을 한 명씩 시집보내고 막내딸만 데리고 살면서 서해의 수심을 재어 어부들의 생명을 보호해 준다고 한다. 그래서 수성당을 구낭사(九娘祠)라고도 한다.
남도와 달리 북도는 슬로시티 보다는 걷기길을 중심으로 유채가 오른다.
주소 : 전북 부안군 격포 일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눈 속에서 피어나기에 설련화, 얼음새 꽃이라고도 하지만 연꽃을 닮았다 해서 산에서 피는 연꽃이라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라며, 높이 10∼30cm로 작은 야생화에 속하며, 뿌리 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일본에는 많은 관상용 품종이 있고, 중국에서는 뿌리를 측금잔화라고 하고, 예쁜 꽃에 반하여 유독성 식물이니 무서움을 감추고 있고, 꽃말은 슬픈 추억이다.
주소 : 전북 완주군 화암사 일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높이는 10㎝ 정도 아주 작은 야생화이며,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에서 잘 자라고 땅속 덩이뿌리 맨 위에서 줄기와 꽃받침이 나온다.
꽃잎은 꽃받침 안쪽의 수술과 섞여서 깔때기 모양으로 솟아 오른다. 꽃받침 길이는 3~5㎝, 너비는 1~3㎝로 앙증맞게 작고 갸냘픈 꽃잎이다.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이는데, 보통 우산처럼 생긴 꽃받침 5장이 꽃잎과 수술을 떠받들 듯 받치고 있으며, 개화하면 느슨하게 허리를 뒤로 젖히는 듯한 모습으로 바뀐다.
주소 : 내변산 일대
[전북 감성 도시 여행]
코로나가 창궐한 요즘 정신적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때 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그나마 여유를 가지고 걸으며 돌아볼 수 있는 풍경이 바로 야경일 것이다.
군산 야행은 사람이 없는 공간에서 나홀로 걸으며 화려한 조명 아래 근대 문화유산 빛의 거리를 보게 되면 현실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다.
야행은 전국 도시에서 볼 수 있지만 군산은 근대 문화유산이 즐비하고 조명에 드러난 건물은 낮보다 더 아름다움을 주는 요소가 된다.
주소 : 군산 내항 및 원도심 일원
[전북 감성 도시 여행]
동절기에는 21시(11월~3월)까지이며 하절기는 이보다 1시간 늦은 22시까지 밤을 화려하게 밝혀주는 조명이 아름다운 장소가 춘향테마파크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한낮에 방문하게 되면 코로나로 인하여 볼거리가 없고 모든 행사가 중지되어 적막하기가 그지 없으니 낮보다는 밤을 권하고 싶다.
춘향이가 살던 집을 재현해 놓은 곳 역시 재현된 집만 보이고 신관 사또 부임 행사 등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 되어 있지만 요즘은 아무런 행사가 없다.
주소 : 전북 남원시 양림길 43 춘향테마파크
[전북 감성 도시 여행]
덕유산은 반도 남부의 한복판을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어서 자연장벽이 되어 역사적으로 신라와 백제가 각축하던 국경선이었고, 영호남을 가르는 장벽 가운데서도 가장 험한 경계선 중의 하나였다.
주위의 행정구역을 보면 이곳의 첩첩산중 위치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우선 영남 쪽은 경상도의 거창군이고, 호남 쪽은 첩첩산골의 대명사인 무주구천동의 고장 무주군이다.
덕유산은 지리산, 설악산에 이어 등산인들의 사랑을 받는 내륙지역의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계곡은 아름다운 계곡으로 명성이 높다.
주소 : 전북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1로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