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일대에서 지표 조사 결과 백제 고분 275기가 확인되었는데 전북에 위치한 백제 고분으로는 규모가 가장 크다.
이 지역에 굴식 돌방 무덤이 밀집되어 있어 백제 지방 통치의 영역 확장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곳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은 백제의 사비 시기 고분이 대다수이지만 일부 웅진 시기 고분도 확인되고 있어, 웅진 시기에서 사비 시기로 이어지는 백제 굴식 돌방 무덤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백제의 지방 세력가들의 무덤군으로 추정되며 같은 지역에 있는 고사부리성 인근에 자리한 마한계 분구묘, 중방과의 관계 등을 살펴볼 때 백제의 중앙과 지방, 정치 세력의 변천 등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산 7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고분군은 살아서는 영화로운 세상을 살다간 이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며 죽어서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는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사리 고분군은 하지사리 남쪽 고부와 부안을 잇는 도로변에 위치한 무덤들에 속하지만 거의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유물들은 도굴이 되었다.
원래 4기의 무덤이 있었으나, 도로를 만들면서 가장 동쪽에 있는 봉분이 파괴되었으니 현대 문명이 역사를 지운 안타까운 현장이 되었으며 형태는 구덩식(수혈식)으로 되어 있는 고분 군락이다.
지사리 고분은 백제 전기인 4세기 말 ~ 5세기 전반의 것으로 구덩식(수혈식)무덤으로는 가장 큰 규모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 402-5번지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생사당을 창건하여 태산사라 하였고, 고려 말에 쇠약해졌다가 1483년에 정극인이
세운 향학당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되었다.
1696년에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이라고 사액되어 서원으로 개편되었으며,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이 서원은 1868년경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되었다.
무성 서원을 둘러본 후 바로 앞에 있는 정읍 쌍화차로 유명한 섬그리고뜰에 들려보는 것이 좋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 향교는 선조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와 조선 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 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근대 교육이 본격화되면서 교육적 기능이 폐지된 향교이다.
정읍 향교는 정확한 설립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인조 16년에 이곳 유림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는 설이 정설로 알려져 있으며,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늦가을에는 수령 340년이 넘은 은행 나무가 노랗게 물들어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충정로 184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 산외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자랑은 해발5백미터가 넘는 상두산이 산외면 상두리 일대와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에 걸쳐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이다.
언제나 단풍으로 아름다운 명산 내장산이 있어 빛을 못보고 있는 산이긴 하지만 나름 계곡에 단풍이 들면 동초 김석곤의 암각화 글씨가 아름다운 전서체로 새겨져 있는 숨은 명산이기도 하다.
상두산의 지명은 석가가 고행 길에 6년 동안 설법을 했다는 인도 불교 성지에서 비롯되어서 일까? 송월주 스님의 탄생지가 있는 마을이기도 하다. 동쪽으로 수많은 산봉우리가 보이며, 서쪽으로는 광활한 호남평야가 펼쳐져 날씨가 좋은 날에는 멀리 서해 바다가 보이기도 한 명산에 해당한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산외면 상두리 산356-1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색바람은 초가을에 부는 선선한 바람을 이르는 말인데 지금은 늦가을의 바람이 일어나는 가을과 겨울 사이의 또다른 계절이다.
색바람이 지나가는 자리에 불안하게 흔들리는 것이 없는 이유가 1년동안 쉼없이 움직인 모든 것들에 고요히 스며드는 바람이기 때문이다.
향기를 머금은 색바람은 모든 만물의 가슴에 햇살향기로 가득하게 하고, 풀과 나무와 곡식의 잎맥 속에 스며들기에 익어가는 것이고, 사람은 이 바람을 맞으면 향기를 머금기에 가을을 타는 것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신용리 1404-1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해가 거듭할수록 산야에서 자리잡아 전국 축제로 탈바꿈한 정읍 구절초 축제가 매년 한자리에서 예쁘게 피어나 많은 여행객을 불러 들이고 있다.
구절초 테마 공원에 만개한 구절초를 보기 위해 찾아온 시민들이 꽃 길을 따라 걸으며 가을을 만끽할 수 있지만 코로나 여파로 주춤했던 축제가 다시 열렸다.
구절초 가을 여행은 많은 시인들이 절창에 이르는 시를 발표하여 더욱 유명해졌고, 구절초 공원의 작은 모퉁이에서 솔향 머금은 아침 안개와 함께 가을 최고의 서정을 마음에 안기는 축제로 탈바꿈 하였다.
주소 : 정읍시 산내면 매죽리 571번지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시에 속한 마을 단위의 구석 구석을 다니는 버스 터미널은 첫차에서 막차까지 쉼없이 움직이는 살아 숨쉬는 지역의 보물에 속하는 소중한 곳이다.
시외로는 전주, 부안, 고창, 장성, 광주까지 왕복 운행하는 교통 중심의 요충지이며 정읍 마을의 구석 구석까지 다니기에 소읍 기행하기에는 참 좋은 터미널이다. 단지 아쉬운 것은 작은 터미널은 항상 보이던 간식 거리를 파는 작은 포차가 없고 슈퍼나 편의점이 대세인 점이라는 것이다.
인근 마을에 막차를 타고 다녀온 이들의 표정에서 우리는 터미널은 떠난 사람이 돌아오는 곳이라는 서정성을 되새길 수 있는 장소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서태길 29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보(洑)라는 것은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둑을 쌓고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을 말하는 넓은 평야에서 주농사였던 벼농사를 위한 수로 역할을 했다.본래 정읍천과 태인천 상류에 농민들이 설치한 보가 있었으나, 고종 30년(1893)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두 하천이 합류하는 하류지점에 새로 만석보를 축조하였다.
만석보가 완공된 후 가을에 새 보에 대한 수세라는 명목으로 많은 양의 쌀을 착취하자 농민들이 분개하여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민란을 일으켜 동학농민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만석보는 농민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지금은 둑을 쌓았던 흔적만이 남아있으며 1973년 동학 농민 운동의 근원지인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이평면 33-1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단풍철을 맞아 정읍 내장산 주변의 걷기 길 중에 용산호는 청정 자연과 도심이 공존하는 호수이며 용산호를 따라 소나무길, 대나무길, 수변 덱 등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산책 공간이 조성되었다.
용산호를 가로 지르는 미르샘 다리를 개통했으며 길이 642m, 폭 2m의 다리로, 다리 중심부에는 단풍·구절초·라벤더·용·샘 등 정읍을 상징하는 조형물과 18m 높이의 분수가 설치되었다.
밤이면 다리를 따라 야간 조명이 빛나 단풍철에 낭만을 즐길 수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노을이 들 무렵은 용산호가 붉게 물드는 모습도 단풍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첨단과학로 405 3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순왕후 송씨(1440년 ~ 1521년 7월 17일 (음력 6월 4일))는 조선 단종 정비이며 시호는 단량제경 정순왕후(端良齊敬定順王后)이다. 여량부원군 송현수(礪良府院君 宋玹壽)의 딸로, 본관은 여산이다.
김종서의 사후 1454년에 간택령에 따라 왕비 교서를 받고 즉위하였으며 단종이 폐위되면서 군부인으로 격하 되었다가, 관비가 되었다.
이후 세조는 그를 노비이지만 아무도 범하지 못하도록 정업원(淨業院)으로 보내 생활하게 하였으며, 단종의 명복을 빌다가 사망하였고 그의 능의 소나무는 동쪽 방향으로 굽는다는 전설이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525-1
[정읍에 마음을 뺏기다]
정읍 드림랜드 조성 사업의 하나로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는 열차 납품 지연으로 당초보다 운행 시기가 늦어졌지만 본격적인 시범 운행을 앞두고 모의 주행을 통해 안정화 중으로 알려졌다.
증기 기관차 머리 부분은 유럽형 관광 열차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화통에 해당하는 부분은 밧데리 2기가 장착되었으며 객실은 3량 중 2량이 연결되어 있다.
선로 변환기 중에 하나인 NS전환기가 선로에 설치되어 수동식 작동을 할 예정이지만 이 전환기의 단점은 승차감이 떨어지긴 해도 열차는 흔들려야 제 맛이기에 좋은 선택이다. 또한 오르막 구간을 지나 회전으로 돌아가는 구간은 한쪽으로 쏠리는 듯한 느낌으로 틸링식 구간도 형성하여 승차한 느낌을 줄 듯 하다.
단지 휴게 시설과 이정표나 열차의 캐릭터와 주변 환경이 아직은 미완공이라 아쉬운 점이 있다
주소 : 정읍 내장산 문화 광장 순환 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