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문화재 역사 기행]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이던 옛 화랑대역이 화랑대 철도 공원으로 재탄생하면서 과거 어린이 대공원 등에 전시되고 있었던 증기 기관차, 협궤 열차를 전시 하고있으며, 화랑대 역 역시 재탄생 되었다.
1939년 경춘선 개통 후 2010년 운행이 중단된 경춘선 철로 구간을 공원으로 꾸며 야경 조명과 외국 전시관을 운영하여 시민 공원으로 탈바꿈 하였다.
옛 경춘선의 추억도 살리고 산책로도 제공하는 낭만적인 공간으로 바뀌었으며 폐 노선에는 1950년대의 미카 열차와 협궤 열차 그리고 체코와 일본 히로시마의 노면전차까지 실물 기차가 곳곳에 전시되고 있다.
주소 :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608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구 경강역은 강촌 레일 파크의 모습으로 바뀌었고 레일바이크는 구 경강역 자리에 새로 신설되어 과거 경춘선을 이용하던 추억을 불러 오고 있다.
붉은 벽돌로 지어진 구 경강역은 운치가 고스란히 남아 있어 대학 시절 엠티 문화에 젖은 여행객을 부러들이고 있으며 추억을 찾으려는 이들이 많이 찾는다.
경강 레일바이크 코스는 총 길이 8km 코스로, 경강역을 출발하여 느티나무 터널을 지나 북한강 철교를 건너 반대편 자라목 쉼터에서 회차하여 경강역으로 되돌아오며 소요 시간은 왕복 1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
주소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서백길 57
[철도 문화재 역사 기행]
원주시에 있는 중앙선 기차역으로 일제강점기에 벌목한 목재를 운송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1941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역이다.
반곡역의 이전 역은 유교역, 다음 역은 금교역으로 모두 간이역이며 여객 기차가 정차하는 역으로 가장 가까운 곳은 원주역인데 반곡역과는 9.3km 떨어져 있다.
1941년 개통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반곡역의 역사는 그 건축적·철도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원주 반곡역사라는 명칭으로 2005년 4월 15일 등록문화재 제165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 원주시 달마중3길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연천역은 경원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에 해당하며 이 역부터 회기역까지 지상 구간이며 한국 철도 공사 구간이고 출퇴근 하는 승객과 군인들의 이동 관계로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급수탑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 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번지
[철도 문화재 역사 기행]
연천역은 경원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에 해당하며 이 역부터 회기역까지 지상 구간이며 한국 철도 공사 구간이고 출퇴근 하는 승객과 군인들의 이동 관계로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급수탑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 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번지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연천역은 경원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에 해당하며 이 역부터 회기역까지 지상 구간이며 한국 철도 공사 구간이고 출퇴근 하는 승객과 군인들의 이동 관계로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급수탑 시설물은 경원선을 운행하던 증기 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급수탑으로, 현재 상자형과 원통형 2기가 남아 있다.
원통형 급수탑에는 급수관 3개와 기계 장치가 양호하게 보존되어 있고, 탑 외부에는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흔적이 남아 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증기기관차 관련 시설물로 가치가 높다.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차탄2리 34-373번지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원래 강촌역이 세워졌을 때부터는 대학생들의 MT 이미지는 그려지지 않았었고 여객 수송 목적으로 지어진 역이 전부였지만 서울 근교인지라 많은 대학 MT장소의 성지가 된 곳이다.
그러나 경춘선 복선화 공사가 완료되어 역이 이설되면서 기차가 지나던 철길은 모두 차도로 바뀌었으며 역사는 추억을 부르는 문화 공간으로 바뀌었다.
특히 강촌역은 수도권 대학생 MT의 성지로서, 역사안팎이 낙서가 주를 이루었고, 이에 코레일은 그래피티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역 전체를 뒤덮은 그래피티와 또 그 위에 덧씌운 낙서의 향연은 강촌역을 추억하는 과정으로 남게 되었다.
주소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로 150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원래 강촌역이 세워졌을 때부터는 대학생들의 MT 이미지는 그려지지 않았었고 여객 수송 목적으로 지어진 역이 전부였지만 서울 근교인지라 많은 대학 MT장소의 성지가 된 곳이다.
그러나 1970년대에 철도 교통의 발전과 강촌역 일대 지역이 개발되면서 서울 교외선의 일영역이나 한때 수도권 전철 1호선 상에 존재했던 기차역 등이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강촌역은 수도권 대학생 MT의 성지로서, 역사안팎이 낙서가 주를 이루었고, 이에 코레일은 그래피티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역 전체를 뒤덮은 그래피티와 또 그 위에 덧씌운 낙서의 향연은 강촌역을 추억하는 과정으로 남게 되었다.
주소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강촌로 150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능내역은 과거 경춘선의 시작점을 지나 위치한 중앙선의 신호장이었으며 2008년 12월 29일에 중앙선 광역전철의 운행구간이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선로가 이설되면서 폐역되었다.
이 역을 대신하여 3.5km 떨어진 곳에 운길산역이 신설되었고 현재 능내 역사는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관광용 및 쉼터로 사용 중이며, 원래 2면 2선이었으나, 1선은 자전거도로가 되었다.
1선이 사라진 이후 승강장이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자전거 길이 생겨나면서 선로가 도로가 되었고, 거의 대부분의 시설이 방치되었다가 몇 해 전에 문화 광장으로 재탄생한 간이역이다.
주소 :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능내역은 과거 경춘선의 시작점을 지나 위치한 중앙선의 신호장이었으며 2008년 12월 29일에 중앙선 광역전철의 운행구간이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선로가 이설되면서 폐역되었다.
이 역을 대신하여 3.5km 떨어진 곳에 운길산역이 신설되었고 현재 능내 역사는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관광용 및 쉼터로 사용 중이며, 원래 2면 2선이었으나, 1선은 자전거도로가 되었다.
1선이 사라진 이후 승강장이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자전거 길이 생겨나면서 선로가 도로가 되었고, 거의 대부분의 시설이 방치되었다가 몇 해 전에 문화 광장으로 재탄생한 간이역이다.
주소 :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동해안의 절경을 안고 달리는 삼척선은 과거의 화려한 명성을 뒤로 하고 지금은 관광 개념의 열차가 운행되는 노선에 해당한다.
삼척 해변역은 2001년 7월 1일에 후진역으로 개통되었으나, 어감상의 이유로 2003년 1월 1일에 삼척 해변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진에 있는 역사는 현재 철거 되어 찾아볼 수 없으며 ktx 이음 구간으로 운행되는 노선이지만 여름을 제외하고는 승객이 많지 않아 적자 노선에 해당되어 근래에는 관광 열차 노선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주소 : 강원 삼척시 수로부인길 542
[간이역 만남 이별의 공간]
역명은 벽제읍에서 유래되었으며 1961년 5월 30일에 역사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7월 10일에 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4년 1월 1일부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가 1983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 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폐역의 수순으로 진행 되었다가 얼마 전 철거 되었다.
벌써 폐역이 된지 20여년이 흐른 후 다시 재개통 되었지만 역사는 철거 되었으며 일부 군용 화물만 간간히 오고 가다가 얼마전부터 승객 열차가 지나는 철로가 되었다.
주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