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함평 시장은 나비 축제로 유명한 함평에 있는 전통시장이며, 정기 시장과 함께 개설되어 전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우시장도 함께 개설되어 있다.
함평 시장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농산물과 수산물을 주로 거래하지만 함평 천지에서 나오는 햇쌀이 주로 거래되는 곳이다.
또한 나비 축제로 유명하며 3일과 8일에 열리고 전남에서는 규모가 큰 5일장이기에 장날에는 많은 인파가 몰린다.
주소 : 전남 함평군 함평읍 시장길 49-1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나무로 벽을 만들어 사용하는 창고는 주로 갯벌이 있는 염전 창고가 대부분이고 육지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의 창고가 바로 나무 창고이다.
아래는 벽돌과 시멘트로 벽을 쌓고 위로는 통풍을 목적으로 나무를 이어 만들어진 창고는 염전을 목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소금 창고와 다른 모습이다.
지금은 주변에 대단위 실리콘밸리와 공장이 들어서면서 논이 모두 없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창고 기능마저도 상실한 창고지만 예쁘기 그지 없다.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정미소의 쇠락은 농업 인구의 감소와 대형화된 현대식 장비를 갖춘 정미소의 등장으로 도정을 멈추게 되면서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에 농기구 창고나 택배 창고로 활용되다가 임대 기간 종료 후에 인적이 끊어져 낡아가면서 무너져 가는 것이 정미소의 운명인지도 모르겠다.
도정하면서 나는 쌀겨의 향이 추억을 부르고 기계가 돌아가면서 나는 소리는 정겨움의 소리로 추억속에서나 머물게 되는 것이 정미소다.
[간이역 문화재 시간여행]
가은선은 1953년 1월 18일 점촌~가은 간을 착공하여 1955년 9월 l5일 개통되었으며, 처음에는 문경선이라 명명한 철도의 한 구간이었다.
1969년에 다시 점촌~문경 간 철도가 개통됨으로써 가은선이라 개칭하였으며, 특히 이 철도는 가은 일대의 무연탄 개발을 위하여 산업철도로 건설되었다.
2004년 4월 가은선 구간이 철도청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선 조치되었고,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레일바이크가 운행되고 있고 국가 등록문화재이다.
주소 : 문경시 가은읍 대야로 2441 가은역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해질무렵 걷기를 하다가 낯선 마을로 들어서서 한참을 마을 어귀를 바라보는데 빛바랜 양철벽에서 노을 빛을 받아 예쁜 색이 빛나고 있음이 보인다.
빈티지와 가난에 이르는 색은 종이 한 장 차이이지만 빛이 바래도 고급스럽게 바라면 세월이 묻어나고 보이는 색 자체가 빈티지의 묘한 마력의 색이 된다.
지금은 도정도 멈추고 작은 창고로 바뀌었지만 전성기 때 많은 사람들이 오가던 모습이 상상속에서 보이기도 한다.
주소 : 전남 함평군 엄다면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무안 염전을 둘러 보고 영광 방향으로 가다 보면 오래된 마을을 많이 만나게 되는데 이곳 월암 정미소는 오랜 세월부터 도정을 해오고 있으며 아직도 노부부가 도정을 하고 있다.
갓 나온 햅쌀이 있을 듯 하여 문의 해 보았지만 도정한 쌀이 모두 팔려 정미소는 없다고 하여 둘러만 보았고, 내부 시설은 예전 그대로 유지되어 있는 정미소이다.
언제 보아도 정겨운 정미소는 있었던만큼 세월이 흐르면 아마도 이곳도 사라질 듯 하여 애틋한 마음이 들었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해제면 유월리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한적한 시골길을 걷다 보면 오래된 정미소나 마을 창고를 보게 되는 데 페인트색이 세월에 퇴색되어 보이지만 오히려 빈티지로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왕산 정미소 역시 빈티지로 변하고 있지만 더이상 시간이 흐르면 아마도 퇴색이라는 이름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하게 될 것이다.
햇빛을 받아 예쁜 색으로 보이는 정미소의 모습이 조만간 사라질 위기라는 것은 어쩌면 세대를 거스릴 수 없는 현실인 듯 하다.
주소 : 전남 무안군 삼향읍 초의길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2020년 목포시 블로그 공모전 참여 페이지 우연에 마음을 더하면 인연이 되는 목포 남진 야시장은 근대에서 현대까지 오랜 역사 속에 잠들어 있던 문화를 깨운 시장이다.
자유시장으로 불리기도 하고 새벽에 잠시 나왔다가 들어간다는 이유로 도깨비 시장으로 불리다가 이제는 그 잠이 일찍 깨어 야시장으로 탈바꿈한 시장이다. 목포가 나은 대스타 남진의 이름으로 재탄생한 시장이기도 하지만 남진 이름에 너무 기대고 있는 듯한 양상인데 이에 도깨비의 미니어쳐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삼학동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어릴적 의무 교육인 초등학교를 다니고 어른이 된 뒤에 추억이 깃든 학교가 사라지면 어떤 기분이 들까?
아마도 아쉬움의 탄성이 먼저 나올 것 같다.
특히 가산초등학교는 월악산과 소백산 국립공원을 곁에 두고 있어 그 어떤 학교보다도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어 더욱 그럴 듯 하다.
조만간 탈바꿈을 할 학교이지만 어린 시절 추억을 찾아 떠나 보면 어떨까? 단풍과 낙엽이 아름다운 길에 위치한 학교를 말이다.
주소 : 충북 단양군 단성면 선암계곡로 1092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삼척을 여행하면서 주말이면 많은 이들이 찾는 시장이 바로 역 앞이라는 뜻을 가진 전두시장이다.
전두시장은 상인회의 공모 콘셉트는 다시 부는 미풍 도계 전두시장이라는 표어로 4계절 명품광장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전두시장은 국비 2억원, 시비 2억원 등 총사업비 4억원을 투입해 소규모 시장을 아름다운 시장으로 꾸며 많은 이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주소 : 강원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09-1
[간이역 시간여행]
고사리역은 삼척시 도계읍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이며, 2007년 6월 1일자로 여객취급이 중단되어 현재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역명은 양치류 고사리와는 무관하지만 이름이 같아 많은 이들이 고사리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 무인역이다.
이곳은 아직 화물기차가 운송을 위해 지나가기에 잠시 들리더라도 안전에 유의해야 하는 역 중에 하나이고, 역내로 들어갈 시에는 반드시 허가를 받고 출입해야 안전하다.
주소 : 강원도 삼척시 늑구2길 68(도계읍) 고사리역
[마을/학교(폐교) 시간여행]
경남 지수 초등학교는 지금의 자리에 1921년 5월 9일 지수 공립 보통 학교로 개교하였고, 1981년 3월 9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지수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2007년 2월 28일 병설유치원은 폐원되면서 현재 주소로 이전 하여 통합으로 된 초등학교이다.
과거 구 지수 초등학교는 우리나라 그룹 서열 100위 안에 30명을 배출하였고, 경제계를 학연 지연으로 배출 시킨 공헌을 한 초등학교이다.
주소 : 경남 진주시 지수면 지사로 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