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서]
우리나라 영해 표지가 있는 하백도에는 5개의 섬으로이루어져 있으며 현재는 상백도와 더불어 절대보존 섬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섬이다.
아름다운 섬이기에 인간의 발길을 막아 정식 허가 절차를 거쳐 등대섬을 오르고자 했지만 국립공원 공단의 거부로 입도를 못한 아쉬움이 큰 섬이기도 하다.
두 섬 모두 해식애가 발달되어 있으며 수직절리와 해식동굴이 있는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무인도서이며 섬 전체를 순환하는 데는 30여분이 필요하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61
[무인도서]
거문도 옷섬안여와 밖여는 3개의 돌 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서이며 상백도와 하백도를 나누는 중간 부분에 해당하며 상백도 쪽으로 붙어 있는 섬이다.
북동 방향의 긴 타원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오리섬이 인접해 있으며 해안은 절벽 형태로 되어 있고 수직 방향의 암맥들이 분포하고 있다.
주변 해역은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에 속한 거문도와 백도 지구로 경관이 우수하며 백악기 반암류인 그래노파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49
[무인도서]
제주 서귀포항에서 남서쪽으로 5㎞해상에 위치한 범섬은 멀리서 바라보면 큰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은 모습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 섬에는 해식 쌍굴이 뚫려있는데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설문대할망이 한라산을 베개삼아 누울 때 뻗은 두발이 뚫어놓았다는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국내 섬 중에서 외관이 가장 수려하면서도 면면이 기괴한 이섬의 자태는 신비함을 자아내는데 육지에서 보는 주상절리와는 현저한 차이가 난다.
제2범섬은 본섬을 순환하면서 모서리를 돌면서 보게 되는데 보는 순간 주상절리를 보며 감탄을 하게 된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법환동
[무인도서]
독도 삼형제굴바위.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1982년 11월 문화재청)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도와 서도 이동은 보트를 이용해야 한다.
삼형제 굴바위의 하부는 조면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상부는 스코리아성 라필 리응회암과 응회암으로 구성 되어 있다. 조면 안산암에는 사각형 또는 오각형의 형태를 보이는 주상절리가 발달하고 있다.
바라 보이는 동굴형의 구멍은 시아치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수심이 낮아 일반 배로는 접근이 어려워서 굴바위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96
[무인도서]
장군도는 여수만 앞바다에 있으며 해안선 길이가 짧은 작은 섬에 속하며 돌산도와의 사이에 전국에서 유일한 해저 석성인 수중성과 목책의 흔적이 남아 있다.
수중성은 1497년 수군절도사 이량이 금오도에 나타난 왜구를 쫓아내고 다시 침입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쌓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지금은 장군도에 벚나무 1,000그루가 심어져 있어 봄이면 벚꽃이 만발하여 바다에 비치는 꽃의 반영이 아름답게 보이는 섬이 된다.
섬에 입도하기 위해서는 돌산대교 옆에 있는 선착장에서 나룻배를 타야 하지만 지금은 입도 금지에 속하는 섬이다.
주소 : 전남 여수시 남산동
[무인도서]
보령 대길산도 등대는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이며 과거에 사람이 살았던 여러 흔적들이 보이는 아름다운 섬이며 간조에는 중길산도와 이어지는 길이 드러나는 섬이다.
중길산도와 소길산도의 섬이 나란히 이어져 있으며, 이 섬들 사이는 꽤 얕은 수로에 해당하여 일반적인 선박은 항해가 거의 불가능한 곳에 해당한다.
정상에 등대가 있는 섬이 바로 대길산도이다 보니 항로 표지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저시정에도 등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전파표지인 레이콘 장비가 병설되어 있다.
주소 : 충남 보령시 오천면 녹도리 산 12
[무인도서]
여수 삼도는 가막만의 남서쪽 세포 마을 앞 바다에 있는 무인 도서로 낚시 장소로 유명한 섬이며 주변 어민들이 굴을 양식하며 간조에 들리는 섬이다.
섬 둘레 0.27㎞, 최고점의 해발 고도 8m에 이르며 밀물 때에는 세 개의 섬이 되었다가 썰물 때에는 하나로 이어져 삼도(三島)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들어가서 보면 작은여 포함하여 4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주로 중생대 백악기 화성암인 중성화산암류로 이루어졌으며,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적색토가 넓게 분포하며 여수 유일의 육지서 간조에 걸어 들어가는 섬이다. 섬은 삼도첫섬, 가운데섬,애기삼도로 각각 불리고 있다.
주소 : 전남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산853~855
[무인도서]
이달의 무인 도서로 선정된 공암은 현포리 해상에 위치한 바위섬으로, 면적 6,327㎡, 높이 약 59m, 길이 약 80m 규모로 이루어진 주상절리 형태의 섬이다.
울릉도 해상 3대 비경 중에서도 첫 번째로 꼽히는 공암은 원래 울릉도와 이어져 있었으나, 오랜 세월 바람과 파도 등으로 연결 부위가 깎여 나가면서 육지와 단절된 바위섬이 되었다.
이 섬은 코끼리 한 마리가 바다에 긴 코를 넣은 채 물을 마시는 모양을 하고 있는 시아치 형태이며 해식동굴은 높이가 10m 정도되는 아치형이다.
공암은 용암이 식으면서 형성된 다각형 모양의 주상절리가 아름다우며 보는 방향에 따라 코끼리가 서 있거나 누운 모습을 연출한다.
주소 : 경북 울릉군 울릉읍 현포리 해상
[무인도서]
옹진군 대령도는 강한 파도와 바람의 작용으로 섬 전체가 암석해안이고 주변에 소령도 영해표지가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되어 작은 무인도서이다.
현재는 절대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안 여객선의 항로가 아니기에 육지에서 쉽게 찾아가기 힘든 가장 먼 서해 서북단 섬으로 남아 있는 섬이다.
다른 무인도서와 달리 소뿔 형태로 된 시스텍 구조의 봉우리 2개가 산 정상부에 있어 멀리서 보면 동물의 귀로 보이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섬 전체를 둘러보는데 10여분 정도밖에 안걸리는 아주 작은 섬이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백야리 산 178
[무인도서]
옹진군 대령도는 강한 파도와 바람의 작용으로 섬 전체가 암석해안이고 주변에 소령도 영해표지가 있으며 해식애가 발달되어 작은 무인도서이다.
현재는 절대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안 여객선의 항로가 아니기에 육지에서 쉽게 찾아가기 힘든 가장 먼 서해 서북단 섬으로 남아 있는 섬이다.
다른 무인도서와 달리 소뿔 형태로 된 시스텍 구조의 봉우리 2개가 산 정상부에 있어 멀리서 보면 동물의 귀로 보이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섬 전체를 둘러보는데 10여분 정도밖에 안걸리는 아주 작은 섬이다.
주소 : 인천시 옹진군 덕적면 백야리 산 178
[무인도서]
고흥 곡두도는 지형과 경관이 우수하고, 상록활엽수림 및 초지군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멸종 위기 동물인 매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있어 현재는 입도를 할 수 없는 보호섬으로 남아 있다.
2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애면이 수직으로 있어 빼어난 절경을 보여 주고 좌측 끝 쪽으로는 거대한 쌍봉 형태의 암봉이 우뚝 솟아 있어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 준다.
곡두도 인근에는 탕건여 등대섬이 있어 마주 보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2개의 섬이 있기에 어선을 이용하여 돌아볼 시에는 모두 볼 수 있다.
주소 : 전남 고흥군 봉래면 외초리 산 316
[무인도서]
울릉군 천부리 앞바다에 우뚝 서 있는 세 개의 기암으로 공암(코끼리바위), 관음도의 쌍굴과 함께 울릉도 3대 비경 중 제1경으로 꼽힌다.
높이는 각각 107m, 89m, 58m에 이른다. 삼선암에는 지상으로 놀러 온 세 선녀에 얽힌 전설이 있으며, 일선암은 해식애와 타포니, 절리가 발달되어 있고, 삼선암 역시 첨탑 형태의 시스텍이 발달되어 있다.
삼선암 전체는 준보전 지역에 해당하며 옥황상제가 노하여 세 선녀를 바위로 만들어버렸는데 나란히 서 있는 바위가 두 언니이고, 홀로 떨어져 있는 작은 바위가 막내라 한다.
주소 : 경북 울릉군 북면 천부리 산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