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바다 갈라짐]
마산도는 한 때 철부선이 운항 중지되었다가 기섬과 더불어 다시 운항 재개된 작은 섬이지만 5개의 섬을 모두 돌아볼 수 있는 작은 섬이다.
압해도 송공항에서 30분 정도 가면 입도하는 섬이지만 기섬과 더불어 편의점이나 여행객의 편의 시설이 없기에 다소 불편함을 감수해야한다.
본래 노대도·장마도·마산도 등 3개의 섬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방조제 공사를 통해 원형으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섬이 되었다. 인접한 황마도를 경유하여 매화도까지 제방으로 연결되어 있다. 섬의 형상이 말과 같이 생겼다 하여 마산도라 부르게 되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암태면 당사리 산 104
[기적의 바다 갈라짐]
행낭곡 등대를 만나기 위해서는 고래뿌리 선착장을 지나야 하며 등대로 가는 노두길을 간조에 건너야만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방파제 끝에 위치한 어민 작업장에는 행낭곡 등대가 있으며 간조에는 노두길이 드러나 승용차가 방파제까지 들어갈 수 있다.
갯벌의 지형에 맞게 노두길의 끝에 있는 등대까지는 겟벌이 아닌 간조에 드러나는 시멘트 노두길을 걸어 등대까지 갈 수 있으며 특히 일출과 노을을 동시에 볼 수 있어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는 길이다.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대부남동 행낭곡 어민작업장
[기적의 바다 갈라짐]
해남군에 속한 증도는 신안군 증도와는 달리 작은 섬에 불과 하지만 간조에 걸어 들어가는 돔 형태의 해발고도가 20미터 정도 되는 섬이다.
여름에는 잠시라도 물기가 없어 쉽게 걸어 들어가지만 갯벌이 남아 있기에 장화를 신고 들어가면 돌아볼 수 있는 간조에 육지와 연결되는 섬이다.
자갈 해빈과 갯벌이 있으며 해안가는 타포니와 유문암질 응회암이 주를 이루는 해안가이며 노을시에는 인근 죽도와 더불어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걸어 들어갈 시에는 갯벌이 남아 있고 물기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에 장화를 신고 건너기를 권한다.
주소 : 전남 해남군 화산면 가좌리 산99
[기적의 바다 갈라짐]
거사도는 천사대교가 개통된 뒤에 팔금도가 육지화 되어 알려진 섬이 되었는데 아직도 노두길이 밀물에는 가려져 섬이 되는 섬이다.
목포에서 서쪽으로 30km, 면소재지인 팔금도와 동쪽으로 1km 떨어진 섬부터 시작하여 작은 3개의 섬이 노두로 계속 이어져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다.
팔금도의 부속섬인 거사도는 공을 차면 바다로 빠진다는 표현을 할 만큼 아주 작은 섬이지만 노두길에 감춰진 아름다운 해변을 지닌 섬이다. 이 섬은 천사대교 개통이후에 무인도서가 되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당고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무안군 소당섬은 육지로 올라가는 마지막 방파제 등대가 있는 해변으로 월두 선착장에서 간조에 걸어 들어가는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소당섬은 차량이 간조에는 들어갈 수 있긴 하지만 워낙 작은 섬이기에 걸어서 들어가 섬을 돌아보는 것이 작은 사구지만 사구와 자갈 및 갯벌 등을 볼 수 있다.
섬을 들어서면 서낭나무 등에 오색천을 감거나 걸어놓아 서낭님 옷을 입힌다.고 하여 서낭님에게 헌물로 바치는 것을 상징하는 깃발이 감겨져 있다. 동쪽(파란색),서쪽(흰색),남쪽(빨간색),북쪽(검은색),중앙(노란색)을 상징하는 오방신장기가 보인다.
주소 : 전남 무안군 현경면 용정리 소당섬
[기적의 바다 갈라짐]
섬의 모양이 곰과 비슷하여 웅도라 하였으며 웅도는 고조선의 왕 후예들이 정착하였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당산의 제단 주위에는 수백 그루의 아름드리 노송들이 있는데, 이를 먼 곳에서 바라보면 마치 섬의 배꼽처럼 보였다고 하여 배꼽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루 2차례의 바닷길이 열려 차를 이용하여 들어갈 수는 있으나 다른 볼거리 보다는 노을색이 아름다워 오후에 열리는 날에 여행객이 많이 몰린다.
주소 : 충남 서산시 대산읍 웅도리 웅도
[기적의 바다 갈라짐]
제주 서건도는 큰 바위들로 해변과 연결된 작은 섬으로 간조시에 걸어들어갈 수 있는 제주 유일의 신비의 바닷길에 해당하는 섬이다.
만조 때는 물이 들어와 해변에서 분리되지만, 간조 때는 해변과 연결되어 걸어서 갈 수 있으며, 지도에는 서건도라는 한자 지명으로 표시되어 있다.
서건도는 주민들이 부르던 썩은섬에서 한자로 차음한 것이며 제주판 모세의 기적이라며 SNS 등에서 많이 소개되고 있고, 올레길 7구간에 속해 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산1
[기적의 바다 갈라짐]
식산도는 성산포 인근에 있는 또 하나의 노을 명소라 할 수 있는 섬 속의 섬인데 간조에는 다리가 드러나 육지의 노둣길을 걷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제주 숨은 명소 중에 하나이며 올레 2코스라 적혀있는 화살표 방향으로 걷다가 만나게 되는 다리를 건너가면 섬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하게 되는 곳이다.
돌다리를 건너 가다 보면 앞이 식산봉인데 약 20분 가량 오르면 만나게 되는 정상이며, 전망대 올라서면 염습지에서만 자라는 희귀 식물인 황근의 국내 최대 규모 자생지를 볼 수 있다.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에 먼바다를 바라다 보는 방향으로 간조에만 걸어들어갈 수 있는 작은 섬이 있는데 여러 섬과 함께 있다가 졸다가 외따로 떨어진 섬이 되었다는 조름섬이다.
하루 2번 썰물 때에 영종도와 용유도에 연결되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섬이지만 일출과 일몰 후에는 군경계 지역이기에 출입을 할 수가 없다.
조름섬은 이름은 사람이 졸고 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지만 이름과 달리 간조에 걸어 들어가면 먼바다 방향의 기암이 인상적인 예쁜 섬에 해당한다.
주소 : 인천시 중구 덕교동 영종용유도 내
[기적의 바다 갈라짐]
해남군에 속한 앞여는 흰끝앞여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노을이 들 무렵 몇그루가 서 있는 소나무가 노을 속에서 보이기에 노을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임하대교 개통된 뒤로 앞여와 동도, 임하도를 간조에는 세 섬 모두를 걸어 들어갈 수가 있어 낚시를 취미로 하는 이들에게는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바닷물의 깊이를 측정한 기본 수준점 표시가 3군데 있어 간조에 걸어 들어 가면서 밑을 보면 만나게 되는데 처음 보는 여행객에게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해남 동도는 임하대교를 건너자 마자 보이는 앞여를 지나 끝까지 들어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선착장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섬이다.
작은 주차장을 지나 간조에 바닥이 들어나면 걸어들어가서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30분 이내로 산보하는 마음으로 돌아볼 수 있다.
노을과 동시에 임하도 등대 앞바다에서 노니는 상쾡이를 육지에서 관람할 수 있기에 육지에서 보는 색다른 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섬이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기적의 바다 갈라짐]
신안 안좌도는 화가 김환기의 출생지로 그가 보고 자란 많은 섬과 바다의 아름다운 소재가 주변에 가득찬 예술의 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옥도는 작은 여에 불과한 섬이지만 간조에 걸어들어가면서 주변에 보이는 타포니 구조의 해안 갯가가 특이하며 물결 모양의 타포니 갯가는 인상적이다.
사리 간조에는 드넓은 갯벌이 드러나고 옥도를 거쳐 갓섬까지 모두 돌아 볼 수 있는 길이 열리기에 가을에 주변 모든 섬을 걸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한운리 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