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말도로 입도하는 선착장은 두 군데이지만 대부분 습곡 형태가 보이는 마을 입구로 입도하는 여객선 선착장이다.
마을 선착장에 내리자마자 우측에 습곡 형태로 이어진 기나긴 암석을 보게 되는데 말도는 여기서부터 감탄사를 내게 된다.
현재 천연기념물인 목포 갓바위 500호와 나란히 501호로 지정된 습곡형태의 기암인데 선착장에 내리면서 보게 되는 말도에 대한 감탄사를 쓰게 된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고군산군도의 명도와 출렁다리로 이어져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는 섬 중에 하나이며, 북서쪽에 있어 방파제 구실을 하는 섬이다.
통일신라시대 장보고가 해상권을 장악하고 청해진을 설치할 무렵 당나라 상인들이 표류되어 떠다니다가 이곳에 도착하여 살게 된 때부터 사람들이 살았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취락은 주로 남동쪽 저지대에 분포하며,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민가는 그리 많지 않은 작은 섬에 속하며 독립문바위와 시루떡바위 등 기암괴석을 구경할 수 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방축도
[유인도서를 걷다]
오래전에 목포 하구둑이 이어져 해남은 육지가 된지 오래지만 30년전만해도 우수영을 가기 위해서는 목포에서 배를 타고 가야했던 곳이다.
지금은 진도와도 연륙교로 이어져 주변 섬을 다니기 편리한 곳으로 탈바꿈하여 많은 관광자원을 여행객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최근 유행처럼 번진 스템프투어에 달마길 걷기, 땅끝마을, 대흥사, 케이블카, 공룡 박물관 등 많은 볼거리가 있는 해남이지만 한번쯤은 이순신 장군길 걷기에도 동참해보는 것을 권한다.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방축도 선착장 안으로 들어서면 말도와 명도의 두 섬을 걷게 되는데 아직은 말도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명도까지는 2시간 정도면 여유있게 걸을 수 있다.
방축도에서 명도로 이어지는 출렁 다리 아래에는 기암이 즐비하고 선착장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쥬라기 시대를 눈으로 볼 수 있다.
방축도 선착장에는 유난히 방파제가 높은 이유는 세찬 바람과 높은 파도를 피해 정박한 배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함일 것이다. 방축도 사람들은 이 포구를 방축구미장불이라고도 부른다.
장불이라는 뜻은 물이 빠지는 썰물 때 드러나는 너른 모래밭, 즉 갯벌을 뜻하는 전라도 방언이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방축도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우수영은 전라우도 수군절제사가 주재하는 병영이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며, 본래 무안의 대굴포에 세워졌던 것을 세종 22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수군이라 함은 배를 타고 바다에서 싸우는 군대를 말하므로, 오늘에 비유하면 해군기지에 해당된다. 전라도에서 서쪽에 위치하는 것이 해남이므로, 백두산 쪽을 머리로 둔 좌우개념에서 서쪽이 우수영이 된다.
또한 임진왜란 때 명량대첩을 거둔 곳이므로, 충무공의 승전을 기념하는 승첩비가 남아 있고, 화산반도에서 진도로 이어지는 울돌목 가까이에 우수영은 위치해 있다.
주소 : 전남 해남군 문래면 우수영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말도는 군산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섬으로 군산에서 뱃길로 2시간 정도 걸리지만 장자도에서는 사람만 타고 40분 가량 소요되는 섬이다.
고군산군도의 끝에 위치해 말도 즉 끝섬이라고도 불리우며 막내, 혹은 끝이라는 의미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전부터 자녀 이름을 지을 때도 말자를 사용했다.
이러한 습관이 섬 이름을 짓는데도 반영된 듯, 고군산군도 끝에 위치한 섬이라고 하여 말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소 :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유인도서를 걷다]
탄도 여행은 조금나루 선착장에서부터 도선하여 작은배로 30분 정도 들어가야 만나게 되는 섬인데, 선착장은 조금나루 해변유원지 끝자락에 있다.
조금이라는 말은 조수가 가장 낮을 때를 뜻하는데, 그럴 경우에도 배를 띄울 수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탄도까지 하루 두 번 운행되는 탄도호는 매우 작은 배다.
1.5평 정도의 대기실에 성인 3명이 앉으면 꽉 찬다. 선착장에서 탄도까지는 2.5km. 육지와 섬의 직선거리는 짧지만 물길을 따라 섬으로 가는 뱃길은 30분 남짓 걸린다.
주소 : 전남 무안군 망운면 탄도리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무안군에 속한 섬 중에는 유인도가 2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탄도이다. 읍에서 남서쪽으로 12km 달려가면 망운면 송현리 마을 끝에 툭 불거져 나온 곳인 조금나루에서 하루 2차례 운항하는 작은 선박을 이용하여 입도하는 작은 섬이다.
백사장의 길이가 4km가 넘고 울창한 송림이 가득하여 여름철에는 해수욕장으로, 봄과 가을에는 생태 체험장으로 인기가 높은 곳이다. 이곳 조금나루 해안에서 서쪽 바다 위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섬이 탄도이다. 탄도의 관문인 조금나루는 섬사람들에게 역사와 애환이 깊은 곳이다.
주소 : 전남 무안군 망운면 탄도리
[유인도서를 걷다]
해남군 우항리 일대 지질은 약 8300만~85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에서 보기 드문 퇴적 구조와 연속적인 수평층리가 잘 발달된 퇴적층군을 형성하고 있다.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을 백악기 안산암질 응회암과 우항리층, 황산응회암과 진도유문암이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이를 각섬석 화강암과 석영반암이 관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위에 부정합으로 충적층이 퇴적되어 있다. 해남 우항리 화석을 포함하고 있는 우항리층은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와 금호호 남쪽 호안을 따라 단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주소 : 전남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십여년전만해도 서남해 해안가를 가면 군인들이 초소에서 경비를 서는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민간인에게 이양되어 보존된 환경을 언제든지 찾아가 볼 수 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해안 수로의 중요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아직도 군에서 초소 경비를 서고 있는 곳 중에 하나가 해남 월래항구이다.
작은 항구이지만 목포로 들어가는 관문에 해당되고 모든 원양선이나 수출선이 드나드는 길목이기에 그 위치가 중요하여 현재까지도 군에서 관리한다.
주소 : 전남 해안군 화원면 별암리
[유인도서를 걷다]
노화도는 작은 목포, 제2의 목포라고 할 정도로 섬과 섬을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며 주변 섬들의 물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지금이야 인구 4천의 소읍에 불과하지만 한때는 2만이 넘는 사람들로 북적거리던 해상 도시였으며, 보길도와 연륙교로 이어져 지금은 노화도에서 입도하게 된다.
섬사람들이 노전배(노로 젓는 배), 돛단배, 똑딱선, 통통배를 몰고 모여들었던 노화장은 많은 사연을 가지고 있다.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독립의 섬 소안도는 여러개의 아름다운 해변을 지니고 있는데 특히 진산 몽돌해변이라 불리는 이곳은 여느 몽돌밭과는 달리 몽돌의 크기가 작아 파도가 스미면 그 소리가 아름다워 한참을 멍하니 서있게 되는 곳이다.
소안도의 남쪽을 향해 걸으면 물치기미 전망대를 만나게 되고 그 아래로 가면 진산해변이 나오는데 여기가 바로 몽돌해안가이다.
이곳은 해신촬영지로 알려져서 지금까지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는 곳이며, 장보고 장군이 몽돌해안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서있는 모습을 환청을 통해 만나게 된다.
주소 : 전남 완도군 소안면 진산해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