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를 걷다]
우도는 한나절이면 차로 모두 둘러 볼 수 있는 작은 섬이지만 섬 속의 섬 비양도를 보게되면 많은 시간을 머물게 되는 섬 속의 섬이 비양도이다.
비양도는 죽도라고도 부르는데 섬이자 기생 화산으로 만들어진 섬이고, 높이는 해발 114.7m에 자리잡은 작은 섬이지만 바라보이는 성산포와 등대가 시원하게 펼쳐져 풍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고려시대인 1002년에 제주 해역 한가운데에서 산이 솟아 나왔는데, 산꼭대기에서 4개의 구멍이 뚫리고 닷새 동안 붉은 물이 흘러나온 뒤 그 물이 엉키어 기와가 되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시기에 비양봉에서 어떤 화산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소 :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김녕 해안도로는 해맞이 해안도로라 불리는 코스의 일부이며, 올레길 중에서도 아름다운 코스 중에 하나이며 특히 여름 바다는 청량한 바다색이 아름답다.
이 코스는 김녕 성세기 해변에서 월정, 평대, 세화 해변을 지나 하도 해변에 이르는 약 19.2km의 구간에 속하며, 올레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제주를 찾는 이들은 누구나 한번쯤 오는 곳이고, 예쁜 해변을 한곳에 모아 놓은 듯한 코스로 전동기로는 1시간30분 정도, 걷기로는 4시간 정도 소요된다.
주소 :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지명의 유래는 여러 설이 있다. 섬의 모양이 마치 점을 찍어 놓은 듯 기묘한 점 모양의 섬이라서 기점도라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 하나는 밀양 박씨 4가족이 이 섬을 비롯하여 주위의 섬에 살고 있다가 매년 음력 8월 15일을 기해 이곳에서 만나 차례를 지낸다고 하여 대기점도라 불렀다고도 한다.
이곳에 처음 사람이 들어온 시기는 1750년경으로 해주 오씨가 영광에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는 설도 있고, 1690년경 밀양 박씨가 먼저 들어왔다고도 전해 오고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신안의 산티아고 12사도 길을 걷기 위해서는 대기점도, 소악도, 병풍도 모두 가능하지만 물 때를 보고 4개의 섬을 모두 걸어야 하기에 대기점도에서 시작점을 삼기를 권한다. 지명의 유래는 섬 사이를 지나는 물소리가 크다 하여 소악도라 하였다고도 하고, 작은 섬에 높은 산이 있어 소악도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18세기 말, 압해도에 사는 김해 김씨와 무안군 해제면에 사는 조씨가 대기점도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다 폭풍으로 이 섬에 표류하여 정착하였다고 한다.
썰물 때는 어미격인 병풍도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신추도 등 5개 섬이 노둣길을 따라 하나로 이어진다. 밀물 때는 노둣길이 바다로 잠수하여 다시 5개의 섬으로 변하는 신비한 곳이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천사대교 개통이후에는 인근으로 들어가는 곳은 육지가 되어 지금은 병풍도를 비롯하여 인근 연안으로 들어가는 철부선이 운항되고 있다.
특히 요즘 신안의 산티아고 순례길이라 불리는 병풍도와 소악도, 대기점도를 들어가기 위해서는 송공항을 이용해야 하기에 아직도 유용한 항구이다.
송공항 역시 계절에 따라 운항 시간이 달라지고 기상 상태에 따라서 운항을 안하는 경우가 있어 입도전 반드시 해운에 문의하고 방문해야 한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압해읍 송공리 718-64
전화 : 061-279-4222(해진해운)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물치 해변의 바닷물과 물치천의 강물이 합수되는 지점 두 물결이 함께하는 곳 소리조차 크고 힘차고 모이면 커지고 강해지기에 물치는 말만 들어도 힘쎈 기운을 받을 것 같은 항구다.
등대가 위치한 물치항은 일출 명소로 유명한 지방어항이다. 물치항을 둘러싸고 있는 두 등대는 낮에도 독특한 경치를 보여주지만, 두 등대 사이로 해가 뜰 때
즈음에는 더욱 아름다운 장관으로 동해의 정취를 만끽하게 해준다.
주소 : 강원 양양군 강현면 동해대로 3584
[떠남을 기억할 선착장]
동명항 일대는 비싼 횟값으로 인하여 여행객에게 호불호가 갈리는 지역으로 뉴스에 나오고 있지만 여행 장소로는 좋기에 마음에 담아 두어 가지고 온다면 마음 상하는 일은 어느 정도 해결 될 듯 하다.
주변에 즐비한 상가에는 모 방송국에서 음식점이 나왔다는 광고판이 화려하게 있지만, 맛으로 승부하는 그런 모습이 있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식사 후에 제법 길이가 있는 방파제를 걷다 보면 다소 서운했던 음식점의 모습들은 훌훌 털어내고 올 듯하니 여행하는 마음이 불평스럽지 않았으면 좋겠다.
주소 : 강원도 속초시 동명동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추암 해수욕장(p 2페이지 참조)은 백사장길이 150m의 작은 해수욕장으로, 마을 앞에 자리잡고 있으며, 해안절벽과 동굴·칼바위·촛대바위 등 기암괴석의 경관이 빼어난 곳으로 해금강 해수욕장이라고도 한다.
수심이 얕고 조용해 가족 단위 피서지로 적합하기에 피서철 인기 관광지이며, 이곳 앞바다의 해돋이는 매우 아름다워 사진 출사의 으뜸지이다.
동해시와 삼척시와의경계를 이루는 해안에 뾰족하게 솟아 있는 촛대바위는 조선 세조 때 한명회가 강원도 체찰사로 있으면서 촛대바위의 경승에 취해 능파대라고 일컬었다고 할만큼 유명하다.
주소 : 강원 동해시 북평동 추암해수욕장
[휴가를 떠난 해변/해수욕장]
고래불 해수욕장은 고래불이라는 이름은 뻘의 옛말이며 고려 후기 이색이 어렸을 때 상대산에 올라 병곡 앞바다에서 고래가 하얀 분수를 뿜으며 놀고 있는 모습을 보고 지은 것이라고 한다.
송천천을 사이로 대진 해수욕장과 마주보고 있으며, 동해의 명사 20리로 알려져 있다. 주위가 송림에 에워싸여 있으며, 바닷물이 깨끗하고 경사가 완만해 가족 피서지로 적합하다.
백사장의 모래는 굵고 몸에 달라붙지 않아 뜨겁게 달궈진 모래밭에서 찜질을 하면 심장과 순환기 계통 질환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주소 : 경북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
[유인도서를 걷다]
퍼플교는 신안 안좌면 박지마을에서 평생 살아온 할머니의 소망이 담겨있는 다리인데, 할머니의 간절한 소원은 살아 생전 박지도 섬에서 목포까지 두발로 걸어가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후 2007년 목교가 조성되었으며 반월, 박지도가 보라색 꽃과 농작물이 풍성한 사계절 꽃피는 1004섬의 의미로 퍼플교로 불리우게 된 섬이다.
다리 중간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팔각정과 낚시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있고, 밤이 되면 소망의 다리는 더욱 빛이 나고 야경이 아름답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소곡리
[유인도서를 걷다]
반월도는 섬의 생김새가 사방 어느 곳에서 보아도 반달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처럼 둘러 보다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는 이름으로 와 닿는다.
반월도는 여느 섬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형태의 지형이며, 중앙에 위치한 최고봉인 견산을 중심으로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졌으며 해안은 사빈해안이 대부분이다.
섬 주위에는 간석지가 발달되어 간척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진 섬이며, 박지도와 연결되어 이젠 섬이라기 보다 육지라고 해야 할 듯 하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반월리
[유인도서를 걷다]
250여 년 전 박씨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았다고 하여 박지도라 부르게 되었는데, 섬의 모양이 박모양처럼 생겨 바기섬·배기섬이라 부른다.
박지도의 최고높이는 130m이며, 기복이 심한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해안은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간석지가 넓게 발달해 있으며, 썰물 때는 안좌도, 반월도 등의 섬과 연결된다.
요즘은 퍼플교가 2개의 섬을 이어 걷기 좋아졌고, 신안군 섬들은 대부분 갯벌이 많이 있지만 박지도에는 특이하게도 갯벌이 별로 없다.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박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