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도리도는 다른 섬과 달리 들어가는 항로가 수심이 낮고 돌이 많아 간조에는 큰 배는 입항이 어려우며 작은 배로만 입도해야 하는 섬이다.
한 때는 풍도 주민들과 바다 작업 터전으로 재판까지 가는 일이 있었지만 지금은 마무리 되어 어민들이 작업을 많이 하는 시기에만 섬에 머무르고 있다.
해안에는 해빈이 발달해 있으며 해안은 20m 높이의 해식애로 되어 있다. 엽리 구조의 호상편마암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식 명칭은 도리도라고 쓰고 있으나, 해수부에서는 와석포라고 지칭하고 있다.
최 점등일 : 1969년 9월 15일
주소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 산144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장도 등대는 신안군 산장면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이며 해수부 표기로는 장도 섬은 항도이지만 어민들 사이에서는 우물섬으로 표기되고 있는 등대다.
섬은 해도상으로는 장도, 네이버나 다음 지도상으로는 항도라고 표기가 되기도 하며 이 섬의 바로 서편에는 유인도인 마진도가 자리하고 있다.
등대는 육지에서 마진도 방향으로 오는 선박과 목포항과 제주항 사이를 오가는 선박들에게 육지초입표지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86년 6월 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산 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흑산 장도수도 등대는 바위섬인 외망덕도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작게는 남쪽의 대장도를 포함한 군도인 장도수도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 범위를 넓히면 동편의 흑산도를 포함한 흑산군도의 서쪽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는 지점으로 해당 지점의 북동쪽 앞 호장도라는 무인도서가 있다.
주로 장도 수도 등대와 호장도 등대 사이의 수로로 흑산도와 홍도를 연결하는 연안여객선이 항해하고 있으며, 서 있는 바위섬이 그림처럼 예쁜 곳이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9월 8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비리 산 184
[평택 지방 해양수산청]
입파도 등대는 평택과 당진항을 오가는 선박들의 안전 항해를 돕고 있으며, 갯벌과 암초가 많고 간조에 수심이 낮아지는 곳이기에 입파도 등대 역할이 크다.
등대 설치시에 설계 공모를 하여 건설된 등대로 홍보관, 쉼터 및 전망대 등도 함께 설치하였으며 700여미터 거리의 산책로도 함께 설치했다.
등대 자체의 규모가 무인등대로서는 규모가 제법 있으며 서해 항로의 중요 지점이다 보니 추후 큰 장비와 다시 유인등대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7년 12월 14일
주소 : 경기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 산 4-1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자은도 등대는 증도와 마주 보는 수로에서 위치한 무인등대로 자은도의 서쪽 맨 끝자락의 해안 돌출부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이다.
자은도 등대부터 흑산군도 사이에 이르는 수역은 서해 중부에서 제주로 향하는 선박들이 주로 이용하는 항로에 해당한다.
자은도 등대는 해당 항로를 지나는 선박들에게 육지 초입 표지 역할을 하면서 항로의 동편 경계선을 정해주는 역할을 겸하는 등대이며 앞으로 5년 안에 증도와 자은도를 연결하는 연륙교가 개설된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11월 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자은면 백산리 산 356-2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우이도 등대는 무인등대로 해당 지점은 우이도의 북서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등대로부터 서쪽으로 흑산군도가 자리하고 있다.
등대와 흑산도 사이의 해역은 서해 중부 해상에 제주항 방향으로 오가는 선박들이 항로로 이용하는 지점에 해당하기에 먼바다로 나가는 입구 쪽이다.
등대 인근은 해안 돌출부와 섬을 중심으로 둘레에 많은 노출암들이 있어 항해시에 해당 지점쪽으로 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최초 점등일 : 1989년 12월 6일
주소 : 전남 신안군 도초면 산 450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대포탄 등표는 그 크기로 보면 등대급에 해당할 정도의 규모인지라 멀리서 보면 등대로 착각을 할 정도이지만 항로 표지 관리상 이름만 다를 뿐이다.
작은 여 치고는 높이가 있어 보기에 좋고 이름이 기억하기 좋은 대포탄인지라 한 번 보면 기억에 오래 남을만한 등표라고 할 수 있다.
육지에서 마지막까지 차로 갈 수 있는 자라도 해상에 있으며 이 앞은 작은 여와 수심이 낮아 사리 간조에는 항해하는 모든 선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10월 11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 산199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우세도는 동구도와 소우세도로 나뉘어져 있으며 과거에는 사람이 살던 유인도였으나 점차 도회지로 나가게 되어 지금은 무인도서가 되었다.
비금도에서 북쪽으로 1㎞ 거리에 있으며 두 섬 사이에는 우도와 갈마도 그리고 소우세도 등이 징검다리처럼 놓여 있으며 섬의 형세는 누운소를 닮았다.
누운소의 배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래사장이 형성되어 있어 피서지에 적합하지만 오가는 여객선이 없어 쉽게 입도하기는 어려운 무인도서이다.
최초 점등일 : 1985년 7월 2일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신원리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에서도 낙도에 속하는 외병도 등대는 산 정상에 있다 보니 주민들도 등대를 가보지 못한 분들이 있을 정도로 올라가는 길이 매우 험한 곳에 있다.
외병도리 북서쪽 해안절벽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무인등대이며, 진도 남서쪽의 다도해 해역의 가장 북서쪽 경계를 이루는 해역에 위치한다.
다도해의 북서쪽 경계선을 안내하는 연안 항로표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며 해당 기선의 남동쪽은 협수로에 조류가 상당히 심한 위험 항로로 해난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다.
최초 점등일: 1988년 11월 12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조도면 외병도리 산 2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외면도 등대는 전남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왕관 형태로 이루어진 무인등대로 이 등대가 실제로 위치하고 있는 섬의 이름은 취도라는 작은 무인도이다.
일반적으로 주 섬이 아닌 부속섬에 등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외면도 등대 역시 부속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인도서에 해당한다.
외면도와 치도 사이의 수로는 항해가 불가능한데 수로가 좁고, 간조시 노출되는 암초인 간출암 여러개가 두 섬 사이에 초맥으로 자리하고 있어 선박이 들어오지 못하기에 등대 역할이 매우 크다.
최초 점등일 : 200712월 22일
주소 : 전남 신안군 비금면 수치리 산 88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오도 등대는 자은도 해상에서 20여분 떨어진 무인도서에 위치하고 있으며 환경보호 차원으로 특정도서 지역으로 관리되는 섬인 오도 정상부에 있다.
자은도 등대와 함께 서해 중부 해상과 제주항 방향을 오가는 선박들이 이용하는 항로상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로 자은도 등대와 마주하고 있다.
해당 항로를 지나는 선박들에게 있어서 항로의 동쪽 경계선을 규정 지어 주는 항로 표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섬 전체가 환경 보호 대상이다.
최초 점등일 : 1987년 9월 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자은면 고장리 산 272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완도 어룡도는 목포항에서 남쪽으로 39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1910년 1월에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석유백열등으로 최초 점등한 등대다.
1945년말에 심한 공습으로 인하여 완전 파괴되어 등대 기능이 일시중단 되었으나 광복과 더불어 와사 등으로 임시복구 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어룡도 등대까지는 정기적인 노선이 없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섬이기에 등 또한 쉽게 접근을 할 수 없으며, 현재는 무인등대로 바다를 지키고 있으며 올해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최초 점등일 : 1910년 1월 8일
주소 : 전남 완도군 노화읍 어룡도길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