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구자도는 1987년 진도 본섬과 접도가 연륙이 되면서 육지와 한층 가까워진 섬이며 연륙된 접도 수품항에서 5km 떨어진 섬이다.
진도는 제주도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유배된 섬이 많은 곳인데 조선 시대에는 귀양 온 사람이 너무 많다보니 영조 때 전라도 감사는 유배지를 다른 곳으로 옮겨 달라는 상소문을 올리기도 했던 섬이다.
6 · 25전쟁 직후인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대규모 학살이 일어났던 섬이다 보니 아픔이 서린 역사적 사실이 주민들 사이에 전해져 오고 있지만 등대가 아픔을 씻어 내린 빛으로 자리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8월 9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의신면 구자도리 하구자도 산 84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울진 석호항은 10년 정도의 공사 기간으로 해상 낚시 공원 조성 사업을 했던 곳인지라 방파제 등대 역시 예술적 디자인을 가미하여 완공한 항구가 되었다.
특히 남방파제는 항구에서 작은 석조 다리가 이어져서 접근에 용이하게 되었으며 등대 주벽에는 대게와 소나무 그리고 갈매기가 양각으로 새겨졌다.
강원도와 경북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다 보니 위 아래로 많은 많은 관광객이 등대를 만나기 위해 찾아오는 것을 보면 항로표지로써의 기능만이 아닌 문화를 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21년 9월 15일
주소 :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1리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울진 석호항은 10년 정도의 공사 기간으로 해상 낚시 공원 조성 사업을 했던 곳인지라 방파제 등대 역시 예술적 디자인을 가미하여 완공한 항구가 되었다.
특히 남방파제는 항구에서 작은 석조 다리가 이어져서 접근에 용이하게 되었으며 등대 주벽에는 대게와 소나무 그리고 갈매기가 양각으로 새겨졌다.
강원도와 경북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다 보니 위 아래로 많은 많은 관광객이 등대를 만나기 위해 찾아오는 것을 보면 항로표지로써의 기능만이 아닌 문화를 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21년 9월 15일
주소 :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1리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울진 석호항은 10년 정도의 공사 기간으로 해상 낚시 공원 조성 사업을 했던 곳인지라 방파제 등대 역시 예술적 디자인을 가미하여 완공한 항구가 되었다.
특히 남방파제는 항구에서 작은 석조 다리가 이어져서 접근에 용이하게 되었으며 등대 주벽에는 대게와 소나무 그리고 갈매기가 양각으로 새겨졌다.
많은 관광객이 등대를 만나기 위해 찾아오는 것을 보면 항로표지로써의 기능만이 아닌 문화를 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21년 9월 15일
주소 :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1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저도 등표는 만지도 해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등표에는 거의 없는 등명기가 설치된 고도 16미터의 고립장애표시로 설치된 등표이다.
멀리서 보면 거의 모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좌측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면 큰 태풍이 오게 되면 파손의 위험이 큰 기울기이다.
만지도 북서방등표와 함께 만지도의 해상을 지켜주고 있으며 연대도를 입도하는 모든 연안 여객선에서 볼 수 있는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9월 14일
주소 : 경남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 해상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삼천포항 남방파제 등대는 목섬 끝으로 만들어진 방파제에 서 있는 등대이며 목섬 자체가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 섬이기에 걸어서는 갈 수가 없다.
목섬 역시 등대가 있지만 어선을 이용하여 들어가야 하기에 낚시배만이 들어갈 수 있고, 바로 옆으로 신항만이 건설되어 여러 개의 방파제 등대가 서 있다.
얼마전에 노산 공원 해안가인 이곳에서 드라마가 촬영되어 삼천포 아가씨 동상이 있는 해변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많은 여행객이 찾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8년 12월 16일
주소 : 경남 사천시 서금동
[여수 지방 해양수산청]
전남 여수 소리도 등대는 몇해전에 복원하여 새로운 등대가 되면서 과거의 모습을 잃어버린 실패한 복원의 역사 등대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료들은 옛모습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처럼 알려지고 있어 새롭게 리모델링 된 모습으로 정정해야 할 듯 싶다.
1910년 10월 4일 건립된 소리도 등대는 백6각형의 콘크리트 구조이며, 등대 내부에는 나선형의 철제 계단이 있고 미공개로 원형대로 보존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10년 10월 4일
주소 : 전남 여수시 남면 연도리 소리도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포항 여남갑은 용덕갑이라고도 부르는 곳으로 포항항과 영일만항 사이에 있는 해안 돌출부에 위치한 곶인데 바로 이곳에 위치한 등대가 여남갑 등대이다.
등대가 오르는 길 옆으로는 시민들의 산책로로 걸을 수 있는 길이 있으며 영일만항의 도제를 비껴서 포항 구항이나 신항으로 들어오는 길목이다.
또한 여남포구로 들어오는 선박들이 항해목표물로 삼는 등대이기도 하며, 이 등대 바로 아래쪽의 해안은 바위절벽 해안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초 점등일 : 1987년 10월 15일
주소 : 경북 포항시 북구 여남동 산22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울진 진미말 등대는 오산항을 내려다 보고 있는 산 중턱에 위치한 무인 등대이며 전체 등고 58m의 등대로 약 19해리까지 불빛을 비춘다.
오산항으로 들어오는 입구는 147º 방향 1.8km지점에 수심 1.2m의 암초인 거북초가 자리하고 있어 파손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항해시 주의 해야 한다.
진미말 등대가 위치한 오산항은 재난이나 풍랑주의보시에 어선의 대피항이 있기에 여느 등대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8월 24일
주소 : 경북 울진군 매화면 오산리 238번지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포항 월포 등대는 무인 등대로 월포만의 남쪽 끝에 해당하는 곶에 자리하고 있으며 사유지 안에 위치하고 있어 입구는 언제나 잠겨 있는 경우가 많다.
문이 잠겨 있는 경우는 임도를 따라 조금만 가면 밭으로 난 길로 접근하면 쉽게 만날 수 있으며 앞 쪽에 오래된 집이 있어 오히려 빈티지스럽게 보인다.
울릉도에서 포항항으로 들어오는 선박들도 이 등대와 호미곶 등대의 불빛을 기준점 삼아 항해를 하기에 월포 등대의 역할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983년 8월 23일
주소 :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이가리 26-4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울진 화모말 등대는 동해안을 바라 보고 있는 언덕에 위치하여 멀리서는 잘 보이나 무인등대화가 된 뒤로는 올라가는 길이 사라져 쉽게 접근이 어려운 곳이다.
마을을 가로 질러 임도를 따라 올라가다가 비포장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바로 산으로 올라가면 5분 거리에 있어 쉽게 접근이 되는 등대다.
울진에 속한 등대는 대부분 일자형태로 주탑이 이루어져 있고 창은 60년대의 둥그런 형태이지만 30년 정도된 등대이기에 옛스런 맛은 나는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83년 8월 23일
주소 : 경북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 산 78-1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후포 등대가 위치한 등기산은 후포 연안을 지나는 선박의 지표 역할을 하기 위하여 주간에는 흰 깃발을 꽂아 위치를 알리고 야간에는 봉화 불을 피웠다.
불빛은 35km에 이르러 후포 앞바다를 운항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후포항과 동해바다를 관망하는 전망대 역할도 한다.
현재는 무인화 되어 또 하나의 문화가 된 등대로 자리하고 있고, 등기산 주변은 공원화 되어 세계 유명 등대 모형이 야외 전시되어 있으며 울릉도와 제일 가까운 등대로서 연안 표지 역할을 한다.
최초 점등일 : 1968년 1월 24일
주소 : 경북 울진군 후포면 등기산길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