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거제시를 대표하고 문화사절 및 홍보도우미 역할을 수행하는 몽돌이(남)와 몽순이(북)를 상징으로 하여 남,북방파제 등대에 두 캐릭터가 설치 되어 있다.
두 캐릭터는 구조라항을 부각시켜주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여 거제의 여행명소 및 친수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거제의 랜드마크라 할 수 있는 개인 섬 위도를 가기 위해서는 구조라항을 들려야 하기에 이곳을 방문하면 방파제에서 마주보고 있는 등대를 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2014. 01. 24
주소 :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항 남방파제
[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속초시의 동쪽 청호동 속초 해수욕장 앞에 위치한 무인도인 조도는 새가 많이 앉아 있어 조도라 부른다고 전해진다.
고 지도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데, 양양읍지 도서조에 무로도(無路島)는 북쪽 30리 속초진에 있는데 대나무가 산출된다는 기록이 있다.
풀과 소나무가 무성해 초도라 불리기도 했고 지금은 정자가 헐리고 그 자리에 1984년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있고 속초 해수욕장에서 바라보이는 섬이다.
최초 점등일 : 1984년 6월 22일
주소 : 강원도 속초시 해오름로 190
[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속초시 설악항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스키점프대 모형의 등대가 속초 해맞이공원 설악항에 설치되어 있다.
벽면에는 동계올림픽 6개 종목의 경기모습을 그린 타일벽화를 붙여 올림픽 현장의 분위기를 살렸다.
해수부 지정 이달의 등대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며 시즌 3에 빠진 것도 많이 아쉬울 정도의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2011년 7월 5일
주소 : 강원도 속초시 동해대로
[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속초시 설악항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스키점프대 모형의 등대가 속초 해맞이공원 설악항에 설치되어 있다.
벽면에는 동계올림픽 6개 종목의 경기모습을 그린 타일벽화를 붙여 올림픽 현장의 분위기를 살렸다.
해수부 지정 이달의 등대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며 시즌 3에 빠진 것도 많이 아쉬울 정도의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11년 7월 5일
주소 : 강원도 속초시 동해대로
[대산 지방 해양수산청]
남당항은 서해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항구로 이름이 나 있으며 새조개 축제로 유명한 항구이며, 바다 송어 등의 축제가 있어 축제 중에서도 먹거리 축제가 유명한 곳으로 명설을 날리고 있다.
또한 바다에 설치된 스카이워크와 철탑형 원형 방파제 등대가 노을 속에서 빛을 낼 때 서해의 아름다움을 한층 더해주고 있다.
이곳에 남방파제 등대는 해수부 지정 이달의 등대가 된 뒤로 더욱 유명해져 많은 등대 매니아들이 찾고 있고 사랑 받는 등대가 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1년 4월 11일
주소 : 충남 홍성군 서부면 남당리
[동해 지방 해양수산청]
묵호등대는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통합하여 탄생한 도시를 지키는 등대로써 묵호진이라는 항구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묵호등대 등탑에는 전망대가 갖춰져 있으나 현재는 코로나로 미개방되고 있고, 야외광장은 야외전망대와 천사의 날개 포토존이 꾸며져 있으며 모닥불 형상물 등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장에는 1968년 정소영 감독의 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의 촬영지임을 기념하기 위해 영화의 고향 기념비가 세워졌다.
최초 점등일 : 1963년 6월 8일
주소 : 강원도 동해시 해맞이길 289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등대를 여행하다 보면 주로 역사가 있는 곳의 입구에는 많은 역사 등대 모형이 조형물로 전시되어 있는 곳이 많다.
목포구등대, 백야도 등대, 호미곶 등대, 우도 등대 입구에서 만나는 조형물 등대중에 이미 들려본 곳의 등대라면 더욱 반가운 느낌이 든다.
우도 등대로 올라가는 길목에 설치되어 있어 잠시 쉼을 가지며 둘러보는 시간은 등대 여행의 즐거움을 한층 더 즐길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주소 : 제주특별자치 제주시 우도면 우도봉길 105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삼천포항은 항만법상 1종 어항으로, 1958년 대일 선어수출항으로 지정됐고 1966년 4월 개항장이 되어 오늘에 이르다가 신항만이 신축되었다.
인근에 왜구로부터 어선 보호와 어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방진굴항 인근에는 아직도 유적이 선명이 남아 있으며 오래된 거목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삼천포항 파제 남단 등대는 옛스런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주탑 모양이 역등처럼 예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노을이 들면 아름다운 등대가 된다.
주소 : 경남 사천시 대방동 251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삼천포항은 항만법상 1종 어항으로, 1958년 대일 선어수출항으로 지정됐고 1966년 4월 개항장이 되어 오늘에 이르다가 신항만이 신축되었다.
인근에 왜구로부터 어선 보호와 어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방진굴항 인근에는 아직도 유적이 선명이 남아 있으며 오래된 거목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삼천포항 파제 남단 등대는 옛스런 분위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주탑 모양이 역등처럼 예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노을이 들면 아름다운 등대가 된다.
주소 : 경남 사천시 대방동 251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몇해전 일반인에게 개방된 차귀도로 인하여 출발항인 자구내포구에서 만나게 되는 고산 등표는 차귀도와 와도 사이에서 노란색으로 솟아있다.
포구에서 5분 거리에 있지만 유람선이 지나지 않아 멀리서 밖에 볼 수 없고 와도의 멋스러움에 반하면서 등표에 관심있는 분들에게만 보이는 등표이다.
이곳은 평소에도 해녀들이 작업을 하는 해안이기에 차귀도를 들어가면서 등표를 먼저 볼 수 있고 만조시에는 많이 잠겨 있어 밑둥을 볼 수 없음이 아쉽다.
최초 점등일 : 2000년 12월 30일
주소 : 제주시 한경면 고산항 전면해상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서망항 곁에 팽목항을 두고 있어 세월호 사건 이후에 온 국민이 알게 된 항구이기에 어쩌면 기억해야할 항구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4월이면 언제나 가슴 언저리에서 먹먹함이 오르는 것은 세월호에 빚진 듯한 느낌이 가슴에 남아 있기에 서망항에 오게 되면 무거운 마음이 든다.
서망항이 국가 어항이 된 이후로 확장 공사와 더불어 제반 시설 확충으로 선창가가 다소 어수선 하기도 하지만 드나드는 어선에게는 필수시설이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임회면 서망항길 70-27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서단 등대는 서망항에서 가사도 방향으로 항해하는 모든 선박이 맨 처음 만나게 되는 등대인지라 한번쯤 지나가며 만난 적이 있는 등대이다.
무인등대로 진도 본섬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서 진도 서단 등대라는 이름이 붙어있으며, 팽목항을 기준으로 하여 북서쪽의 돌출부에 자리한다.
서단 등대는 진도 서편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연안 항로 표지를 하는 등대로 주로 목포항과 제주항 사이를 오가는 선박들을 보게 된다.
최초 점등일 : 1998년 11월 26일
주소 : 전남 진도군 지산면 심동리 산 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