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척사항 방파제에는 유명한 성덕대왕의 신종 에밀레 종 모양을 한 방파제 등대가 있는데 등대 안에 들어 있는 종에는 유명한 문양까지 새겨져 있어 설치시 많은 노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의 흔적에 보답하는 양 등대 매니아 사이들에선 입소문으로 퍼져 경주를 가게 되면 반드시 들리는 항구로 자리 잡았다.
항구를 드나드는 어선의 보호를 위해 세워진 등대이긴 하지만 나아가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등대가 지켜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감포 바다에는 아름다운 옛스러움을 지닌 송대말 등대가 있는데 고즈넉한 기와 지붕에 우뚝 솟은 등대가 바로 송대말 등대이다.
노을이 들 무렵에 지붕에 떨어지는 붉은색의 고색창연한 빛은 천년의 도시 경주 바다를 지킨 위용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 하다.
파도 소리가 아름다워 바다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또 다른 등대를 만나게 되는데 부드러운 인상이 파도와 함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최초 점등일 : 1955년 6월 30일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18-94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송대말 등대가 설치 된 앞바다에는 실시간 해양관측시스템이 설치되어 바다 기상을 예측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관암등표가 있다.
흔히들 등대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 이 역시 등대로 생각할 수 있으나 그 역할과 기능이 다름을 알고 나면 바다 설치물에 더 해박해질 수 있다.
등표의 모양이나 크기는 거의 비슷하지만 등대와 달리 만조시에는 아랫부분이 바닷물에 잠길 수 있다는 점이 등대와는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2004년 10월 13일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포항 지방 해양수산청]
경주 감포항에 가면 감은사지 3층 석탑 모양으로 우뚝 서 있는 등대를 만나게 되는 데 바로 감은사지 석탑 등대라고 불리는 방파제 등대이다.
감은사지탑에서 주목되는 점은 각 부의 구성이 백제시대의 초기 석탑과 같이 많은 석재를 사용하고 있는 점인데 이를 살려 지나가는 어선을 지키고 있다.
또한 기단을 2단으로 한 새로운 형식을 선보여 이후 석탑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바다 등대로 차용하여 살려낸 해수부의 노력이 돋보인다.
최초 점등일 : 2016년 4월 25일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리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신안 팔금도에는 제법 이름이 알려진 서근등대와 항구의 기능이 축소된 원산항 방파제 등대가 육지가 된 뒤에도 오롯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원산항 방파제 등대는 다른 방파제 등대와 달리 서근 등대 모양을 철로 원형을 만들어 세워져 있으며
마주 보는 소마진도 등대와 마주보고 세워져있다.
소마진도 등대는 일반적인 등대 형태로 세워져 있지만 원산항 등대는 전체가 철로 구성되어 웅장한 하얀색의 위용을 보여주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14년 06월 15일
주소 : 전남 신안군 팔금면 원산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제주 우도 등대는 1906년 3월 제주도에서 맨 처음 무인 등대로 불을 밝혔으며 1959년 유인 등대로 전환되어 오늘에 이른다.
지금은 콘크리트조 원형 등탑을 신축하여 먼바다를 비추고 있으며, 이 등대 공원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파로스 등대 등 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유명한 등대 모형 14점을 전시하고 있다.
우도의 신흥 관광 명소인 이 등대 공원에는 매년 30만 명 이상이 방문할 정도로 관광 문화에 많은 경제적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3년 12월 01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우도면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얼마전까지만 해도 가파도와 마라도는 모슬포 선착장에서 왕복으로 다녔지만 운진항의 개선 공사가 완료되어 지금은 이곳에서 출항하고 있다.
한쪽으로는 요트 계류장이 있어 볼거리도 제공하고 있으며, 언제나 많은 여행객으로 붐비는 항구로 대변신을 한 선착장이다.
이곳에 가파도나 마라도로 이동을 하면 우측에 입구에서 언제나 변함없는 모습으로 서 있는 방파제 등대가 운진항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2001년 12월 28일
주소 :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보길도의 보옥산 아래 국가 어항이 된 보옥항이 있는데 얼마전 해양수산부에서 부잔교를 완공하여 어항으로 자리를 잡게 된 항구이다.
어항 입구 방파제에 모래시계 등대가 있는데 웬 뜬금없는 모형의 등대가 서 있지만 이왕이면 보옥항이나 보길도와 연관된 등대였으면 하는 바람이 컸다.
요즘은 지자체에서 항구 방파제에 예쁜 등대 만들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즈음인지라 이색적이긴 하나 연관성 있게 설치했으면 좋겠다 싶다.
최초 점등일 : 2010년 06월 01일
주소 : 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제주 지방 해양수산청]
가파도 상동 선착장에 내리면 해안을 따라가는 길과 섬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건너편으로 넘어 오면 작은 항구를 만나게 되는데 어선들의 기항지이다.
중간 중간에 이국적인 풍광을 만드는 야자수 사이를 지나 보리밭 사잇길로 넘어 서면 바로 만나게 되는 지형이 낮은 항구이지만 아담하여 한눈에 들어온다.
가파도는 지형이 낮아서 바다와 거의 수평선을 이룰 정도여서 파도가 심하게 치면 섬은 물에 잠길 것만 같은 분위기가 형성되는 항구이다.
최초 점등일 : 백 1991년 05월16일
홍 2008년 11월 07일
주소 : 제주시 대정읍 가파리 가파도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돗개 백구가 선박의 항로를 밝히고 어민의 안전을 위하여 회동항 방파제에 진돗개 등대가 있음을 아는이는 드물다.
등대 여행을 하는 이들을 빼고는 진돗개 등대가 있다는 사실 조차도 모르는 것이 사실이지만 유명세를 떠나 백구 등대는 오늘도 어민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금방이라도 짖는 소리가 들릴 것 같은 백구 등대는 진도의 천연기념물을 등대로 만들어 어민들의 안전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에서 몇 해 전에 설치했다.
최초점등일 : 2018년 8월
주소 : 진도군 고군면 금계리 회동항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진도 소포리에 있는 무인 등대는 쉬미항을 드나드는 많은 어선과 여객선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무인등대로 진도 본섬의 북서쪽 해안선에 자리하고 있다.
쉬미항의 입구가 되는 해안 돌출부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인데 쉬미항에서 인근의 섬들을 오가는 선박에서는 쉬미항의 관문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여객선과 진도 서부의 다도해 수역을 돌아보는 낙조관광 유람선이 운항했지만 지금은 업체의 사정으로 유람선이 휴업하면서 가까이서 보기는 어렵다.
주소 :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1002-15
[목포 지방 해양수산청]
상조도는 조도군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5개 동네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도대교 개통 후 모든 관공서 및 편의시설이 하조도로 옮겼다.
등대를 기준으로 철부선이 드나드는 하조도와 상조도로 구분하여 위와 아래의 위치 개념이 적용되고 있으며 위는 북쪽이고, 아래는 남쪽이다.
하조도는 면적이 넓고 인구가 많아 조도면의 중심지가 되고 있고, 학교와 저수지의 명칭에서 하(下)를 빼고 조도만을 씀으로써, 포괄적인 이름이 되고 있다.
주소 : 전남 진도군 맹성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