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저도 등표는 만지도 해상에 자리하고 있으며 등표에는 거의 없는 등명기가 설치된 고도 16미터의 고립장애표시로 설치된 등표이다.
멀리서 보면 거의 모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좌측으로 기울어진 모습을 보면 큰 태풍이 오게 되면 파손의 위험이 큰 기울기이다.
만지도 북서방등표와 함께 만지도의 해상을 지켜주고 있으며 연대도를 입도하는 모든 연안 여객선에서 볼 수 있는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82년 9월 14일
주소 : 경남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 해상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삼천포항 남방파제 등대는 목섬 끝으로 만들어진 방파제에 서 있는 등대이며 목섬 자체가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 섬이기에 걸어서는 갈 수가 없다.
목섬 역시 등대가 있지만 어선을 이용하여 들어가야 하기에 낚시배만이 들어갈 수 있고, 바로 옆으로 신항만이 건설되어 여러 개의 방파제 등대가 서 있다.
얼마전에 노산 공원 해안가인 이곳에서 드라마가 촬영되어 삼천포 아가씨 동상이 있는 해변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많은 여행객이 찾고 있다.
최초 점등일 : 2008년 12월 16일
주소 : 경남 사천시 서금동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소여 등표는 한산도 부속섬인 추암도 봉암 해수욕장 앞 바다에 있는 등표로써 붉은색의 우현표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간조에는 바닥까지 드러난다.
한산도에 입도한 뒤 추암도로 넘어가는 연륙교를 건너 가기에 차량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봉암선착장에 있는 봉암 해수욕장과 몽돌밭이 유명하다.
또한 간조에는 소여등표를 바라보면서 갯가를 모두 걸어 볼 수 있고 북쪽 해안에 깊은 만이 형성되어 있어 이 만의 기슭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다.
등표 번호 : 2182
최초 점등일 : 1982년 9월 14일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하동 술상항 남방파제 등대는 천막으로 천장을 만들어 돛단배 모습을 디자인화 하여 펼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주변은 야외 공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남방파제는 간이 무대가 설치되어 있고 관객이 앉아 버스킹 등을 관람할 수 있어 등대가 문화의 중심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멋진 등대다.
술상항은 위로는 하동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로의 마지막 항구에 해당하는 양포항이 있어 하동 여행시에 둘러봄직한 수로 포구 방파제이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12월 26일
주소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하동 술상항 남방파제 등대는 천막으로 천장을 만들어 돛단배 모습을 디자인화 하여 펼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주변은 야외 공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술상항은 바다에서 민물로 들어오는 하동포구이기에 사실상 바다 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수심이 낮아 간조에는 큰 배는 접안하기가 매우 힘든 수로이다.
특히 주변 개도에는 조개 화석이 무더기로 있는 개도가 있어 자연환경적 멋진 섬이 좌우에 있으며 전망대에 오르면 수로 전체를 바라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2017년 12월 26일
주소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남해 고도 등표는 미조면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육지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낚시꾼에게는 대물 장소로 인기가 많아 항상 갯바위에 사람이 있는 장소이다.
고도는 미조면에서 바라 보이는 11개의 섬 중에 하나이지만 큰섬인 고도가 등표를 가리고 있어 보이지 않고 가장 바깥쪽이자 먼바다 쪽에 위치한다.
풍랑주의보 앞 단계까지는 낚시꾼이 항상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대물터로도 유명한 등표 자리이다.
최초 점등일 : 1999년 07월 26일
주소 : 경남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11월 2주의 등대는 남해 끝자락에 있는 고도 등표를 선정했으며 미조면에서 동 떨어진 섬인지라 걸어갈 수 없지만 낚시꾼에게는 인기가 많은 고도에 있다.
고도는 미조면에서 바라 보이는 11개의 섬 중에 하나이지만 큰섬인 고도가 등표를 가리고 있어 보이지 않고 가장 바깥쪽이자 먼바다 쪽에 위치한다.
풍랑주의보 앞 단계까지는 낚시꾼이 항상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로 대물터로도 유명한 등표 자리이다.
최초 점등일 : 199년 7월 26일
주소 : 경남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일반적으로 등대는 항상 외부에 돌출되어 물에 잠기는 일이 없지만 등표는 만조에 잠길 수도 있는 것이 등대와 다른 항로 표지이다.
견내량에서 불을 밝히고 있는 한산항 등표는 선박에 장애물이나 항로를 알리기 위해 암초 및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되어 불빛을 발하는 시설물이다.
한산도 제승당 가는 길목에서 불을 밝히고 있는 등표는 거북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한산도 대첩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설치되었다.
현재 한산도 등표 해수부 주관 등대 스템프 투어에 해당되는 등표이기에 많은 참여자들이 돌아보고 있는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1963년 12월 30일
주소 : 경남 통영시 한산면 한산일주로 99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등표란 배에 장애물이나 항로의 소재 등을 알리기 위해서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된 등명기를 갖춘 구조물을 말한다.
설치 위치에 따라 고립장애 표지, 측방 표지, 방위 표지로 구분하지만 만조에 아래 기단이 물에 잠기는 것이 등대와는 차이가 있다.
2주의 등대에서 등표를 선정한 까닭은 사천에서 사량도 방향이나 수우도를 가면서 우측에 사천 방향으로 언제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초 점등일 : 1983년 8월 8일
주소 : 경남 사천시 신수도 북동 해상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등표란 배에 장애물이나 항로의 소재 등을 알리기 위해서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된 등명기를 갖춘 구조물을 말한다.
설치 위치에 따라 고립장애 표지, 측방 표지, 방위 표지로 구분하지만 만조에 아래 기단이 물에 잠기는 것이 등대와는 차이가 있다.
2주의 등대에서 등표를 선정한 까닭은 사천에서 사량도 방향이나 수우도를 가면서 우측에 사천 방향으로 언제나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초 점등일 : 1983년 8월 8일
주소 : 경남 사천시 신수도 북동 해상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등표가 등대처럼 서 있는 안좌도 변도 등표는 일반인들은 구별하기 어려운 형태로 있기에 모두들 등표보다는 등대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변 안내판에도 등대로 기록되어 있어 모두들 잘못 부르기 일쑤지만 등대에 관심을 두지 않으면 구별 자체가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썰물에는 바닥까지 모습이 드러나지만 밀물에는 아랫부분이 모두 잠기기에 잠기는 부분에서 구별이 쉽게 되기에 어렵지는 않고 유독 빨간색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등표이다.
최초 점등일 : 2008년 08월 28일
주소 : 전남 신안군 안좌면 탄동리 산1번지 앞 지선
[마산 지방 해양수산청]
진해 토끼섬 등대는 1967년에 건립되었으나 낙후되어 2005년 교체되어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는 토끼섬 정상에 위치한 등대이다.
부산시와 거제시 등을 오가는 주변 항해 선박의 시인성에 문제가 있어 예산을 들여 항로 표지 기능을 구축하는 등 현대적인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이때 등대를 증축하여 당초 높이 6.5m에서 15m로 크게 높아져 인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의 등대 식별이 편해졌으며 본래 모습을 잃었다.
최초 점등일 : 1967년 7월 31일
주소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명동 산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