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일본 이오지마자키 등대는 리처드 헨리 브런튼이 설계한 등대 중 하나로, 메이지 시대에 일본과 협업하여 외국 선박이 안전하게 올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은 무인 등대로 전환되어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사택과 사무실로 쓰던 곳은 등대 역사 전시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매일 관람할 수 있으며 초기 등대 모습과 당시에 쓰던 장비가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 부산과 일직선 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초창기에 일본 선박보다도 외국에서 들어오는 선박에게 유용하게 사용된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871년 9월 14일
보수 점등일 : 1954년
주소 : 일본 나가사키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시마바라 구니사이 등대(운첸 군이사키)로 불리는 등대는 무인등대로 지금은 고원화 되어 올레를 걷는 이들이 풍경과 더불어 즐기는 장소가 되었다.
등대로 올라가는 길은 한적하여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만날 수 있으며 일본 고유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가 아닌 우리나라의 등주 형태의 철로 전체가 이루어져 있다.
초점 시기가 그리 오레 되지는 않아서 등주를 이루는 기둥 역시 전체가 철로 되어 있어 2~3년에 한번씩 도색을 하여 보존하고 있는 등대 중 하나이다.
최초 점등일 : 199년 3월
주소 : 일본 나가사끼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피카딜리 노선(Piccadilly Line)은 런던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이며, 노선도상에서 남색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한국내에 사용하는 교통카드면 모든 지하철에서 사용할 수 있어 하루 카드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연간 승객 수로 보았을 때 런던 지하철에서 다섯 번째로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기도 하며, 센트럴 선 다음으로 노선의 길이가 길다.
이 노선은 어찌 보면 서울 지하철 2호선과 같은 지상과 지하로 구분이 되기에 익숙한 교통수단이 될수도 있다. 런던의 주요 관광지인 하이드 파크, 버킹엄 궁전, 피카딜리 서커스, 레스터 스퀘어와 코벤트 가든 등을 경유하고 있다. 하며, 런던에서 가장 큰 공항인 런던 히드로 공항까지 운행한다.
주소 : 영국 WC2N 5DP London, 런던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히요리야마 등대(日和山灯台)는 홋카이도에서 노삿푸미사키 등대에 이어 두 번째로 점등하였으며 처음에는 1883년에 흰색 목조 육각형의 등대로 건설되었다.
1911년에는 안개 신호소가 병설되었으며, 1953년에 현재의 콘크리트로 개축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1968년에는 빨간색 흰색 횡대 선이 그려졌다.
57년에 상영된 기쁨도 슬픔도 수년이라는 영화가 촬영되면서 본래의 색에서 눈에 띄게 중간에 빨간색이 그려졌으며 일반인의 출입은 금지되어 있다.
최초 점등일 : 1833년 10월 15일
주소 : 일본 훗카이도 오타루시 슈쿠쓰 다카시마 곶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상야등은 메이지 시대에 노부키 마을의 언덕 위에 모재로 설치되어 있던 것을 헤세이 시대에 지금의 교차점 정비에 맞추어 설치되었으며 밤새 점등하는 구조이다.
어찌 보면 우리의 석등과 같은 맥락이겠지만 바다와 높은 언덕에 설치한 것을 보면 재래식 등대로 보는 것이 맞을 듯 하며 강으로 드나드는 선박의 표지가 되었다.
오타루는 오랫동안 국제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오타루 항구 만들기의 시작은 해관소 등대부터 시작점을 찾아 볼 수 있으니 재래식 등대의 역할을 제대로 했다고 볼 수 있다.
최초 점등일 : 1871년, 소실 : 1874년 1997년 재현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크로아티아 어로 Mandrak이라는 단어는 비교적 항구 범위가 작거나 어선 등이 정박하는 항구에 쓰는 이름이기에 지중해를 여행하면서 이 단어를 보게 된다면 역사 등대는 없다고 보는 것이 통상적이다.
만드락 항은 연안내에서도 깊숙히 들어와 있으며 우리로 보면 제주의 소규모 어선 대피항으로 보면 적합할 듯한 항구이기에 볼거리는 작지만 노을이 들 무렵은 지중해의 멋을 한층 더해 준다.
지중해 연안을 따라 다니다 보면 12개 정도의 역사 등대를 만날 수 있으며 여행자들을 위한 등대 숙소가 여러 곳에 있기에 저렴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주소 : Put Bokeljskih Brigada, Dobrota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유럽에서 부다페스트와 빈을 여행하면 언제나 도나우 강을 건너 다니면서 돌아보게 되는 데 우리나라의 영산강 등대를 보는 것처럼 항로 표지의 기능보다는 저녁이면 점등되는 해양 등대를 만나게 된다.
대체로 이 등대들은 점멸식 등주가 아닌 원통으로 되어 있어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고정식 불을 밝히고 있어 전망대 역할을 하게 된다.
코파 해변의 놀이 공원에서 임시로 만들어 둔 부잔교를 건너면 만날 수 있으며 주변 숙소에서 30여분 걷다 보면 Leuchtturm Sunken City를 보게 된다.
주소 : An der Neuen Donau, 1210 Wien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여행을 떠난다는 것은 지금의 모든 것을 내려 놓고 새로운 것을 담는 마음의 작업이기에 언제나 설렘을 안고 나서는 길임에 틀림 없다.
비가 오는 공항에서 Mikis Theodorakis의 앨범을 올려 두고 타국의 모습을 그려보면서 귀로만, 가슴으로만 듣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가슴에 행여나 무언가 허전함이 올 땐 찾을 만한 앨범이라 말하고 싶다.
유럽으로 가는 길목에서 만난 비는 무엇보다도 서정을 가슴에 안고 듣는 동안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듯한 느낌을 강하게 빗속에서 받고 있다.
핀란드 헬싱키에서 키보디스트 투오마스 홀로파이넨(Tuomas Holopainen)이 결성한 스노우맨 OST에 나오는 보컬 타르야 투루넨의 애절함에 취해 보고 싶다.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훗카이도의 명승지 중 하나인 치큐미사키 등대는 100미터 절벽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평양을 전망할 수 있는 훗카이도 자연 100선에 해당하는 곳이기도 하다.
국내와 비교하면 매년 신년에 해돋이 장소로 유명한 호미곶 등대와 같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본 전역에서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는 등대 중에 하나이다.
일명 지구끝 등대로 불리고 있으며 치키우 등대처럼 전체적으로 백색으로 된 등대는 만나기 어려우며 하부가 팔각형 형태로 된 보기 드문 형태의 구조로 되어 있고 지금은 우리처럼 무인화 된 등대이다.
최초 점등일 : 1920년 4월 1일
주소 : 보코이미나미마치 무로란 훗카이도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일본 훗카이도 이시리 토다이 등대는 메이지 시대에 설립된 훗카이도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이며 바다가 아닌 강 하구 서안에 설치된 등대이니 우리나라 영산강 등대와 위치가 비슷하다고 보면 될 성 싶다.
처음 설립시는 목조 육각형으로 된 흑백 등대였으나 1908년 철조로 재건축 되었으며 등대 내부에는 당시의 내벽이나 철판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북해도가 눈에 고장인 만큼 눈이 내릴 때는 영화 배경이 되는 경우도 많고 기쁨도 슬픔도 수년월이라는 영화가 촬영되면서 외관이 잘 보이도록 빨간색과 흰색으로 바꾼 등대에 해당한다.
최초 점등일 : 1892년 1월 1일
주소 : 일본 훗카이도 이시카리 서안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일본의 역사 등대 중 하나인 일명 코등대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제주에서 수출한 올레길이 있어 여행하기에는 제격이다.
올레 길에서 만나기는 하나 코스가 코등대를 들어가지 않고 비켜가기에 일부러 시간을 내지 않고서는 만나기 힘든 등대 중 하나이기도 하다.
올레길에서는 해안길을 따라 걷다 보니 목조와 철조로 된 다리를 조금 들어가면 세토즈메자키 등대는 만날 수 있지만 일본의 역사 등대를 만나 보는 것도 좋은 추억거리가 되기에는 충분하다.
최초 점등일 : 1869년 11월
주소 : 나가사키현 미나미시마바라시 구치노쓰초
[해외 등대와 철도 항구 시간 여행]
일본 군함도는 무인 등대만이 유일하게 유지 보수가 되고 있는 시설이며, 당시 패전 모습 그대로 유지하고 하고 있으며 내부 시설은 돌아보지 못하지만 외부는 걸어서 30분 가량 머무르며 돌아볼 수 있는 섬이다.
군함도라는 불리게 된 이유는 전함 토사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며, 해설사의 설명은 경제 부흥의 시초이자 참으로 위대한 시작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일제강점기 끝자락에 강제 징용이 시작된 곳이기에 우리로서는 이해하지 못할 이야기이다.
군함도의 역사적 사실을 바로 앞에 두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 했을 선조들을 생각하면 바라보이는 등대가 원망스럽기도 했던 군함도이다.
최초 점등일 : 1975년
주소 : 일본 나가사끼 하시마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