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도서]
비가 오면 환상적인 아름다움으로 바뀌는 다물도는
신라 흥덕왕 때에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
하고 당나라와 교역을 하던 중 다물도에 입도했다는 기록이 있다.
1650년경에 김씨(金氏)가 섬에 들어와 살기 시작했고1969년에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됨에 따라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안개가 내리면 섬 자체가 안개에 가려져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보게 되는 섬이며, 지명은 해산물이
풍부하고 고기가 많이 잡혀 다물도라 부른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다물도리 255
[항구/선착장]
다물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딸린 섬으로 쾌속선으로 2시간 정도 타고 가는 거리에 있다.
지리적으로 흑산면 11개 섬 중에서 가장 먼저 여객선이 닿으니 흑산면 도서지역의 관문이라 할 수 있다. 흑산도 옆에 있는 작은 섬 다물도는 가끔 돌아오는 배는 항구에서 승선하지 않고 작은 선박을 이용해
승선하기도 한다.
인구는 134가구 292명으로 하나의 부락을 이루며
살고 있다. 홍도와 흑산도 · 대둔도 · 영산도 · 장도
등과 함께 흑산군도를 이룬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다물도길 75
[맛집]
전남을 여행할 때는 어느 식당을 가던 실패해 본적이 없을 정도로 맛의 고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맛은 보장된다는 의미다.
화려한 상차림에 맛까지 곁들여진다면 음식을
먹으며 무슨 말을 하겠는가. 가득히 나오는 회정식에서 녹차 말이로 먹는 굴비 정식은 밥도둑이 된다.
맛은 기억된다고 했듯이 목포를 여행하면서 예향에서 식사를 한다면 잊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추억을 안고 갈 식당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평화로 40
전화 : 061-262-9595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교통 발달로 홍도 역시 하루로 다녀올 수 있는 섬이되었지만 하루로는 여유로운 여행이 되지 못한다.
목포를 가기전에 미리 예약을 하고 도선 완료한
후에 첫배로 들어가서 막배로 나오면 조급하지만
나름 유람선까지 다 돌아보고 올 수는 있다.
배에서 내려 여러 목소리가 들리는 좌판 시장을 구경하고 저녁에 연탄에 구워주는 볼락은 최고의 별미를 맛 볼 수 있는 좌판이 항구에 있다.
주소 :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1길 21-5
전화 : 061-246-3700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서동 미로 시장은 정확한 상점 수는 아니나 대략
미로 시장안에 372개의 상점이 있다고 한다.
출입구 골목이 무려 9개나 되기에 각기 다른
입구에서 서로 핸드폰 없이 출발하여 시장안에서
만날 수 있는 확률은 극히 드물다고 할 정도로
미로로 얽혀 있다.
이 시장의 매력이 바로 미로로 꾸며져 있어 재미를 더할 수 있는 묘한 매력이 넘치는 시장이다. 자 이제
연인끼리 만날 확률 테스트 한 번 해봄 어떨까.
주소 : 부산 금정구 서동로141번길 16
[5일장/재래시장 시간여행]
서동 시장이 위치한 금정구 서동 지역은 미로시장과바로 붙어 있어 좁은 골목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래된 재래 시장이다.
시장 크기가 성인 두 사람이 지나가기가 어려울
정도로 좁은 재래 시장이며, 1968년부터 부산 지역 도심의 철거민들이 이주해 오면서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60년대 이후 금사 공업 지역이 형성되면서, 노동자의 주거 지역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른 지역 주민의 증가로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주소 : 부산 금정구 서동로 145-4
[맛집]
밀면은 밀가루에 전분을 섞어 만든 면으로, 부산의 향토 음식으로 지정되어 있다.
1950년대 초반 6ㆍ25전쟁 시기 부산에서 탄생한
음식으로, 미군 원조 등으로 구호품으로 시작한 것이 유래되어 오늘에 있는데 냉면과 국수와는 다르고
쫄깃함이 냉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무더운 여름에 먹는 맛도 좋지만 날이
추워질 때 먹는 온밀면 역시 냉밀면 못지 않은 맛을 내주는 식당이다.
주소 : 부산 동래구 충렬대로 378-1
전화 : 051-521-5006
[정미소(방앗간)/창고 시간여행]
지금도 옛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정을 하고
있는 소중한 우리의 농업 자산 정미소 중 하나이다.
오래된 정미소만 내는 옛스런 색과 모습은 그 어떤 정미소에서도 볼 수 없는 아름다운 세월의 색이기에 보면 볼수록 정감이 묻어 나는 유산이다.
정미소의 이름 역시 깊은 신앙심이 드러나는 이름을 명명한 주인의 신앙심이 묻어나는 이름이다.
주소 : 경북 영천시 화북면 자천 8길
[맛집]
가게 이름이 레스토랑으로 되어 있어 주 메뉴가 양식처럼 보이는 가게이지만 식당에 들어서면
자연스럽게 보리밥에 눈이 가게 되는 레스토랑이다.
최무선로에서 다리 밑 터널길을 걸어서 들어가
나가는 입구 왼쪽에 한옥이 자리하고 있어 다소
의아한 느낌으로 들어서게 된다.
입구 왼편에서 보쌈과 보리밭을 보게 되면서
미소를 짓게 되지만 레스토랑과 거리가 먼 듯한
느낌이 절로 나는 식당이다.
주소 : 경북 영천시 최무선로 335-7
전화 : 054-334-5335
[맛집]
예로부터 민물 매운탕 재료로는 붕어와 메기 그리고 동자개(빠가사리)가 으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집의 매운탕은 흙냄새와 비린내가 나지 않아 유명인들이 다녀간 매운탕 집으로 유명세를 얻을 정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식사 후에 전시되어 있는 토속적인 민속품은
식사 후에 볼거리를 제공해 주는 식당이다.
주소 : 경북 영천시 화남면 천문로 1505
전화 : 054-337-9953
[카페]
차와 예술 문화가 흐르는 공간 갤러리 카페는 도예가들의 예술을 곁들여 볼 수 있는 갤러리 카페이고,
지금은 코로나 관계로 3층에서 전시가 열리고 있진 않지만 코로나가 안정되면 많은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진주에서 문화 갤러리가 귀한 만큼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고 관람객과 예술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할 수 있다.
주소 : 경남 진주시 정촌면 화개천로54번길 33-17
전화 : 010-9005-5954
[간이역 시간여행]
앞으로 2년 후에는 중앙선의 새 선로 완료로 다른
곳으로 이전하여 운영되는 역이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에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역의
모습은 맑은 날 보다도 비가 오는 날은 더욱 애절한 향수를 불러오는 그런 역이 신령역이다.
이름처럼 오래도록 유지 되어 어린 시절을 이곳에서 보낸 분들에게 향수를 지니도록 했으면 좋을 그런
역으로 남길 기대해 본다.
주소 : 경북 영천시 신녕면 완전리 607-2
전화 : 054-336-7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