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에는 많은 재래식 등대가 있었는데 이를 도대불이라부르고 있으며 현재는 본래 있었던 자리에 본래의 모습대로 복원하고 있다.
그중 김녕리 도대불은 제주돌인 현무암을 재료로 하여 설치되었는데 유독 다른 도대불에 비하여 마야 문명의 느낌이 나는 모양이다.
현재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곳은 몇곳이 되지 않는다. 해질 무렵에 뱃일 나가는 어부가 불을 밝히고 마지막에 입항한 어부가 껐다고 한다.
최초 점등일 : 1920년~1930년
주소 :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497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고산리 도대불은 신호 유적으로 선창의 위치를 알리고 배들을 안전하게 유도했던 시설이며 과거 등대에 해당하는 재래식 사다리꼴 형태를 띠고 있다.
고산 옛등대 또는 도대불이라 불리고 있으며, 제주 특유의 돌을 쌓아 만들었으며 아담한 크기인지라 자구내포구에서 눈에 띄는 등대로 남아 있다.
차귀도가 일반인에게 공개된 이후로 많은 이들이 찾고 있는 섬이 된 뒤에 지질트래킹을 하는 여행자들은 자구내포구 한번쯤은 보게되는 등대이다.
주소 : 제주시 한경면 노을해안로 1161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조천진에 소속된 왜포연대(일명 고포연대)는 동쪽으로 함덕연대 서쪽으로 조천연대와 교신하였으며, 소속 별장 6인, 봉군 12명이 배치되었다.
일반적으로 연대의 평면은 방형인 것에 비하여 왜포연대는 타원형의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벽체 또한 이중벽으로 돌담으로 분리 축조되어 있다.
그 사이의 공간은 해안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이중벽 역할을 하여 제주도 특유의 강한 바람을 막아주었을 것이며,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주소 :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신흥리 방사탑은 오래전부터 이곳 주민들이 바다에서 일하는 어부들의 무사 안녕을 빌며 고사를 지내던 역할을 한 방사탑이 있다.
신흥 관곶 옆 쪽으로 항구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곶(관코지)은 제주도 본섬의 가장 북쪽으로 돌출된 지점이다.
이쪽 주변에는 작은 항구가 있어 고즈넉하고 특히 비가 오는 날은 서정이 넘쳐나는 분위기가 여행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묘한 마력을 지닌 곳이다.
주소 : 제주시 조천읍 신흥리 777번지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 우도에 있는 봉수대는 제주 전통 화강암을 쌓아 만든 탑 형태의 전망대로 만들어져 있으며 우도로 들어오는 바다를 바라보던 기능을 했다.
봉수시설은 고려시대부터 사용했다고 전해지지만 제주에서의 봉수대는 조선시대 세종 때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봉수는 1895년 봉수제가 폐지될 때까지 조선시대 대표적인 군사 통신시설이고 이로 인해 우도에서도 망루라고 하여 5인 1조로 근무했다고 한다.
주소 : 제주시 우도면 우도 해안길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 해안가에는 주민들의 안녕을 빌기 위해서 둥그런 원형으로 세원진 방사탑이 많이 있는데, 마을에 들어오는 나쁜 기운을 누르려고 방사탑을 세웠다.
방사탑은 거욱대라고도 불리우기도 하고 방사탑은 마을의 한 쪽에 나쁜 기운이 있다거나 기가 허한 곳에 쌓아올린 돌탑을 말한다.
제주 해안가를 걷다 보면 곳곳에서 이러한 방사탑을 찾아볼 수 있는데 과거로부터 이어온 방사탑 보다는 현대에 이르러 재현된 방사탑이 대부분이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용담2동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 이호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 유난히 방사탑이 밀집 해 있는 동네이며 해안 테우 해변 조랑말 등대로 유명한 동네이다.
이곳 올레길을 걷다 보면 유독 많이 만나게 되는 것이 방사탑인데 엄장마을 재현된 방사탑은 동서남북을 기록하여 대표적인 별자리를 새겨 놓았다.
올레에서도 아름다운 해변으로 유명한 엄장해안길은 서쪽 애월읍 고내리에 위치한 고내포구가 있는 곳이며, 해안절경이 예쁘기로 소문난 곳이다.
주소 : 제주시 도두일동 1734 엄장해안길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수근연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정치·군사적으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통신수단에 해당하며 근래 들어와서 복원을 한 연대이다.
봉수대와는 기능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연대는 주로 구릉이나 해변지역에 설치하였고, 봉수대는 산 정상에서 연기와 횃불을 피워 신호를 보냈다.
제주성에 소속되었던 수근 연대는 제주시 용담동 해안 도로변에 있으며, 1978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동쪽으로 별도연대, 서쪽으로 조부 연대와 신호를 주고 받았다.
주소 : 제주도 제주시 용담 삼동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임실에 있는 오수 망루는 호수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복 이후 어지러운 당시의 치안 상태를 잘 보여주는 시설물이다.
전쟁 이후 빨치산 활동과 경찰에 의한 공비토벌등 한국 현대사에서 나타난 혼란과정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유구로 역사적 가치가 있다.
또한 주변 지역의 화재를 감시하고 전체를 조망하게 되어 있으며, 벽돌을 원통형으로 쌓은 뒤 꼭대기에 육각형 망대를 얹었으며, 각 면에는 구멍을 내어 사방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주소 : 전북 임실군 운암면 운암리 640-8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시 용담동에 위한 다끄네 도대불은 이름부터가 특이하다 보니 한번 보면 잊혀지지 않는 도대불이라고 할 수 있다.
다끈네 또는 닥그네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약 400여 년 전 돌새미(동우물) 주위에 김해 김씨, 인동장씨, 제주고씨 등이 모이면서 이루어졌다.
그 후 여러 성씨들이 모여 정으로 갯가를 일일이 손질하여 포구를 만들었다 하여 닦은개인 것을 발음하여 오늘날 불리게 되었다.
주소 : 제주시 용담2동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제주 해안가를 걷다 보면 오래전부터 세워진 연대와 복원된 연대를 쉽게 볼 수 있는데 원형 모양과 네모난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봉수대의 역할도 했다. 남부 연대는 조선 시대 애월진 소속의 연대로 동쪽으로 수산봉수, 서쪽으로 고내봉수와 교신하였으며, 별장 6명, 봉군 12명을 배치했었다고 한다.
해안 도로가 시작되는 구엄리에서 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2㎞ 정도를 가면 남뜨르라 불리는 동산 위에 남두연대가 있다. 1977년에 고증을 거쳐 개축하였으며, 축조 방법은 사선 방향의 거친돌 허튼층 쌓기이고, 테두리는 바른층 쌓기를 하여 높이 5단마다 심석을 물려 쌓았다.
주소 :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
[재래식 등대 도대불/토속신앙]
귀덕포구에 있는 도대불은 귀덕리 또는 구대리 도대불이라 불리는데 조업중인 어선이 밤에 그 불빛을 보고 포구를 찾아올 수 있게 위치를 알려주던 재래식 등대로 보면 맞다.
투박한 제주 화산석을 층층히 기단을 쌓고 탑의 형태로 올려 멀리서도 볼 수 있게 만들었고, 상단 부분은 사방을 뚫어 사방향으로 불빛을 보게 만들었다.
과거에는 상단 부분에 석유나 기름을 태워 불빛을 만들어 밝히고 암초가 많았던 바다에 어선들의 안전을 지켜주고 귀선에 목적을 두었다.
주소 : 제주시 한림읍 귀덕11길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