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조선 선조 10년(1577)에 창건하고, 숙종 11년(1685)에 사액되어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그의 문하 건재(健齎) 김천일(金千鎰)을 배향하였던 서원이다.
그 후 고종 5년(1868)에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되었던 것을 후손들이 광무 3년(1899)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른 서원과는 달리 옛 돌담이 남아 있어 더욱 옛스러움이 강하게 다가오며 현재는 2월과 8월 중정(中丁)에 각각 제사를 드리고 있다. 단지 아쉬움은 서원까지 들어가는 입구가 너무 좁아 단체 관광객은 차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 산외에 있는 김명관 고택은 중요 민속 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흔히 아흔 아홉 칸 집이라고 부르는 전형적인 상류층 가옥에 해당하는 한옥이다.
김동수의 6대조인 김명관이 1784년에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창하산을 뒤로 하고 앞에는 동진강의 상류가 흐르고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터전이다.
대지 중앙에 ㄷ자집 형태의 안채와 중문간채가 튼 ㅁ자집 형태로 자리잡고 있으며, 안채 남쪽에 일(一)자형 별당채, 북쪽에 작은 사당이 있고 한옥 체험을 할수 있는 곳이 있지만 현재는 운영 부재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시가 먼저 선생이 훗날 정읍시 산외면에 이주했던 고가(살던 집)와 정읍시에 소재한 선생 묘소를 근거로 산외면에 애국 지사 박준승 기념관을 건립·개관했다.
역사 인물 시설은 생가·고가·묘지에 유배지까지 활용한 사례가 지자체마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1866년 태어난 박준승 선생이 정읍 산외면으로 이주 시기는 작고 12년 전인 1915년이다.
박준승 선생은 민족 대표 33인 중 한 분이며 업적을 기리고 선열들의 숭고한 애국 애족 정신을 후손들에게 계승하기 위한 기념관이며 2019년에 개관하였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산외면 운전1길 27-3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1920년대 건립된 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은 리모델링 후 재탄생 된 적산가옥에 해당하지만 아쉽게도 초창기 벽돌 흔적은 모두 세라믹 벽돌로 외부를 꾸며 옛 모습을 잃어버린 형태로 남아 있다.
이 건물은 정읍과 김제 일대에 대규모의 토지를 소유했던 일본인 농장에 소속된 주택이었으며, 주택의 정면 좌측에 사무용 건물이 돌출되어 있고, 그 오른편 뒤에 일본인이 거주하던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양쪽 두 공간은 복도로 연결되어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지주의 생활 양식과 이들에 의한 농촌 수탈의 역사를 보이고 있으며 농산과장 사택과 함께 남아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2길 12-8 (화호리)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김명관 고택을 들어가기 전 우측 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소나무의 충절과 기품을 만들어 주고 있는 모양새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데 특히 안개가 오를 때나 설경은 보는 맛이 일품이다.
정읍 산외에 있는 김명관 고택은 중요 민속 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흔히 아흔아홉칸 집이라고 부르는 전형적인 상류층 가옥에 해당하는 한옥이다.
김동수의 6대조인 김명관이 1784년에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창하산을 뒤로 하고 앞에는 동진강의 상류가 흐르고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터전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해방 이후1946년에 개교한 목포 사범 학교는 1954년 본 건물을 신축하여 본관으로 사용하였으며, 목포 1세대 석장(石匠) 고(故) 손양동씨가 참여하였다.
중앙 현관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하는 구조로 단계별 증축을 통해 완성되었고 1950년 이전에 중앙 현관을 포함해 좌측 공간이, 1954년에는 우측 공간이 증축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완공되었다.
건물에 사용된 석재는 목포에서 생산된 화강석 사용하였으며 고전적인 의장 효과를 연출하여 목포 대학교 예술 대학으로 사용되다 후에 본관이 되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송림로41번길 11(용해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목포 문태고등학교 건물은 설립자 문재철 선생이 1953년 11월에 기공하여 1958년 8월에 준공한 학교 건물로 한국 전쟁 이후 국민의 교육을 담당했다.
건물 중앙부는 기단에서 처마까지 33개의 돌로 쌓아올려 3·1운동을 주도한 민족 대표 33인을 기리고 인재 양성을 통해 나라를 구한다는 민족 자존 교육 구국의 건학 이념을 표현하고 있다.
본관 건물은 중앙부와 양단부가 돌출된 E형의 구조와 일제 강점기에 많이 보인 박공지붕으로 해방 후 대표적인 학교의 평면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사용된 자재는 산정동에서 채석한 응회암을 사용해 다양한 형태의 표면 다듬기로 질감을 잘 표현하였다.
주소 : 전남 목포시 용당동 183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조선 선조 10년(1577)에 창건하고, 숙종 11년(1685)에 사액되어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그의 문하 건재(健齎) 김천일(金千鎰)을 배향하였던 서원이다.
그 후 고종 5년(1868)에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되었던 것을 후손들이 광무 3년(1899)에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른 서원과는 달리 옛 돌담이 남아 있어 더욱 옛스러움이 강하게 다가오며 현재는 2월과 8월 중정(中丁)에 각각 제사를 드리고 있다. 단지 아쉬움은 서원까지 들어가는 입구가 너무 좁아 단체 관광객은 차에서 내려 걸어 들어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북면 보림1길 392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깊은 산골 마을에 비가 내리면 냇가가 있는 곳은 안개와 더불어 보이는 모든 것에 서정이 내리기 마련이고 아름다운 산골로 변신을 한다.
특히 비가 내리다가 잠시 소강 상태로 이어지면 안개가 내리기 시작하여 환상의 모습으로 변신하게 되는데 서 있는 자리가 작품의 소재가 된다.
안개속에서 흘러가는 시냇물과 천변에 서있는 나무들은 맑은 날 보는 느낌과는 달리 아름다움이 더해져 보이는 모든 것이 아름다움을 뿜어 낸다. 그리고 이곳 동진강은 동진강 환경연합회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여러 차례 외래식물 제거 등 환경정화 작업을 하여 깨끗한 정읍 만들기를 하고 있다.
주소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중앙로 103
[제주도 두루워킹투어]
용수 성지는 용수리 해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중국 상해에서 출발해 서해로 귀국하다가 표착한 곳을 기념한 곳인데 김대건 신부는 한국인 최초로 상해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이에 신부는 라파엘 호를 타고 귀국하던 중 큰 폭풍우를 만나 표류하다가 용수리 해안으로 오게 되어 도착한 곳을 기념하여 기념을 세웠다고 한다.
이후 경기도 용인에서 사목 활동을 하다가 순교하였는데, 이 선교 열정과 순교 정신을 기리기 위해 용수리 포구를 성지로 선포하고 기념 성당과 기념관, 라파엘 호를 복원해 전시하고 있다.
주소 : 제주시 한경면 용수1길 108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나주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에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며, 태조 7년에 세워 제사와 교육기능을 수행하다가 신학제 이후는 제사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대성전은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보다 위쪽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지만 나주 향교는 명륜당과 대성전의 자리가 바뀌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팔작 지붕이며,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인데, 기둥 사이에는 꽃 모양의 받침을 만들어 위에 있는 부재를 받치고 있다. 건물 안쪽 바닥은 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뼈대가 다 드러나는 연등 천장으로 꾸몄다.
주소 : 전남 나주시 향교길 36-11 (교동)
[광주 전남 두루워킹투어]
1937년 광주지목구가 설립된 후 최초로 선교를 위한 거점으로 사용된 건물로, 정면 중앙부의 반원아치와 필라스터로 장식된 현관 포치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고, 처마선 아래와 층간 사이에 수평 돌림띠로 장식하고 수직의 긴창을 반복적으로 배치하였다.
내부의 목조 계단·천장의 석고 플라스터 몰딩·행거 미서기 문 등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광주교구 최초의 교구청으로 사용되었다.
교구청이 광주로 이전한 후 성 골롬반외방선교수녀회 수녀원 목포분원과 병원 및 간호전문대학으로 사용되는 등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초기역사와 성 골롬반외방전 교회의 의료 선교의 역사를 알 수 있다.
주소 : 전남 목포시 노송길 35(산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