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천은 내장산의 각종 위락시설, 음식점이 쏟아내는 오·폐수로 심각한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으나 90년대 중반부터 수질을 검사하고 주민감시를 일상화하면서 깨끗한 1급수가 흐르는 강으로 바뀌었다.
그 결과 현재 하천변은 깨끗한 환경과 맑은 수질로 인해 도심 속의 휴식공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봄이면 철쭉, 개나리, 벚꽃 등 꽃들이 아름답게 피어나 상춘객이 찾아든다.
2025년 벚꽃 축제를 거닐다가 시기동에서 내장산동에 거쳐 피어난 벚꽃을 보며 이학수 시장 이하 지역의 시의원의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들이 외관으로 나타나면서 과정들이 꽃과 함께 피어나고 있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공평동 일대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천은 내장산의 각종 위락시설, 음식점이 쏟아내는 오·폐수로 심각한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으나 90년대 중반부터 수질을 검사하고 주민감시를 일상화하면서 깨끗한 1급수가 흐르는 강으로 바뀌었다.
그 결과 현재 하천변은 깨끗한 환경과 맑은 수질로 인해 도심 속의 휴식공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봄이면 철쭉, 개나리, 벚꽃 등 꽃들이 아름답게 피어나 상춘객이 찾아든다.
2025년 벚꽃 축제를 거닐다가 시기동에서 내장산동에 거쳐 피어난 벚꽃을 보며 이학수 시장 이하 지역의 시의원의 지역 발전을 위한 노력들이 외관으로 나타나면서 과정들이 꽃과 함께 피어나고 있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공평동 일대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보화리 야산 중턱에 나란히 서 있는 2구의 석불 입상은 백제 시대의 불상으로 백제 최남단에 조성된 화강암 석불이라는 점과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편단우견의 착의법을 보여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두 불상은 같은 조각양식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른쪽 불상이 왼쪽 불상보다 약간 커서 이불병존상을 염두에 두고 조성된 것은 아닌 듯 하다.
오른쪽의 큰 불상은 뒤편의 광배(光背)가 깨지고 대좌의 아랫 부분을 잃어버린 것 외에는 대체로 완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으며 민 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 묶음인 육계가 솟아 있는데, 이는 백제의 불상인 부여 군수리 석조 여래좌상과 흡사하고, 삼국 시대 말기부터 말기부터 등장하는 편단우견의 착의법의 입상이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 116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정읍 수성동에 위치한 구 정읍 경찰 서장 관사는 지상 1층 규모 가옥으로 1채로 구성된 작은 집이지만 일제 강점기의 양식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평면과 외관은 일식과 서양식 주거가 절충된 양식으로 건축 되어 있으며 내부는 일본 전통식 양식으로 되어 있으며 외관벽은 시멘트 뿜 칠로 마감하고 수직창을 내었으며, 유리 미세기 창과 비늘판 벽으로 마감하여 외관이 서로 대비를 이룬다.
건물 뒤쪽에 현관이 있는데, 현관은 서양식 기둥을 세워 출입구를 강조하였으며 지붕은 서양식 박공 지붕과 일본식 지붕이 합쳐진 형태로 일식 시멘트 기와를 올렸다.
주소 : 전북 정읍시 중앙2길 21
[정읍 비경 두루워킹투어 ]
가을철 단풍이 아름다워 예로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꼽혔을 정도로 단풍과 눈꽃으로 유명한 국립공원중에 하나이다.
백제 때 영은조사가 세운 내장사와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쌓았다는 동구리 골짜기의 내장산성이 있으며 금선폭포·용수폭포·신선문·기름바위 등도 잘 알려져 있다.
등산로는 능선 일주 코스와 백양사까지의 도보 코스가 주로 이용된다. 1971년 서쪽의 입암산과 남쪽 백양사 지구를 합한 총면적 75.8㎢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다.
주소 :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 1207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국내에도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고분군은 여항산 북쪽의 능선이 도항리 일대에서 구릉성의 야산에서 시작한다.
함안 고분군은 평원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말이산이라 부르며 행정 구역으로 도항리, 말산리에 해당하여 일명 도항리 고분군, 말산리 고분군이라 한다.
가야의 유적으로서는 최대급의 규모를 자랑하며, 아라 가야의 도읍지였던 가야읍 도항, 말산리 일원에 위치하며, 가야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이다.
주소 : 경남 함안군 가야읍 고분길 153-31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함안 박물관은 선사 시대 문화를 토대로 기원전 후한 시기부터 신라에 멸망하는 6세기 중엽까지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아라 가야가 성립된다.
아라 가야는 변한 12국 중 하나인 안야국이 주변의 작은 나라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고대 국가로, 함안을 중심으로 창원, 진주, 의령의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광활한 분지와 넓은 해안을 영토로 하였다.
4세기 전후에 더욱 성장한 아라 가야는 5세기 무렵 말이산의 크고 높은 고분과 우수한 유물을 만들 정도로 정치·경제·문화적 발전에 사용되었던 유물을들을 전시를 통하여 알리고 있다.
주소 : 경남 함안군 가야읍 고분길 153-31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문화 유산의 보고인 경주 감포에는 일제 강점기에 신사가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 일본인들의 생활상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데 경주가 일본인들의 집단 거주지였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일본 신사는 소록도와 감포 그리고 광주 송정에는 신사의 형태를 그대로 두고 현재 사철로 바낀 신사가 남아 있다.
신사 주위에는 고장을 지키는 신의 숲으로 불릴 정도로 숲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당시의 형태는 거의 사라 지고 가미키(神木)라고 하는 명목으로 시메나와를 연결하고 있는 것도 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감포읍 감포항 해국길
[부산 울산 경남 두루워킹투어]
일두 고택은 조선 성종 때의 대학자 정여창의 옛집으로, 지금 남아 있는 건물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것이다. 사랑채는 현 소유자의 고조 할아버지가 다시 지었다고 하며, 안채는 약 300년 전에 다시 지은 것이며 이 집의 터는 500여년을 이어오는 명당으로도 유명하다.
솟을 대문에는 정려를 게시한 문패가 4개나 걸려 있고, 대문을 들어서서 곧바로 가면 안채로 들어가는 일각문이 있고, 왼쪽으로 비스듬히 가면 사랑채가 나온다. 높은 기단 위에 지은 사랑채는 'ㄱ'자 모양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구조적 특성과 함께 살림살이들이 옛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당시의 생활상을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주소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62-1번지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경주 내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 사찰 서경사는 얼마전 보수가 완료 되어 깨끗한 이미지로 탈바꿈 되어 웅장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이 건물은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에 들어온 일본 불교의 한 종파인 조동종이 경주 지역에서 포교하려고 지은 불교 건축물이다. 현재 일본 사찰은 군산 동국사, 목포 동본원사가 남아 있다.
지붕이 건물 높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정면과 측면의 길이가 일대일 비율에 가까워 위에서 바라본 건물의 평면이 정사각형이며, 정면의 지붕이 돌출되어 있는 등 일본 전통 불교 건축의 특징이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서부동 93번지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 석탑이며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 있다.
탑은 넓직한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 올린 모습이며 기단은 벽돌이 아닌 자연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네 모퉁이마다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자상이 한 마리씩 앉아 있다.
회흑색 안산암을 작게 벽돌 모양으로 잘라 쌓아 올린 탑신은 거대한 1층 몸돌에 비해 2층부터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네 면마다 문이 만들어져 있고 위로 그 위로 화강암으로 만든 활짝 핀 연꽃 장식이 놓여 있다.
주소 : 경북 경주시 분황로 94-11, 분황사
[대구 경북 두루워킹투어]
광복 후 국립 박물관이 결성됨에 따라 경주에서는 조선 총독부 박물관 경주 분관을 접수하여 국립 박물관 경주 분관이 탄생하여 오늘에 이른다.
최순봉 관장과 직원들은 일본인 직원으로부터 소장품과 시설 일체를 인수하여 1945년 10월 7일 개장하여 통일 신라 문화의 유물을 일반인에게 전시를 통하여 알리고 있다.
광복 후에는 미군정의 협조를 받아 부산과 대구에서 일본인 사업가가 소장하고 있던 문화재를 회수하여 별도의 전시장을 마련하였으며 국립 박물관의 일원으로 호우총과 은령총 발굴 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소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